"사겨요"는 틀린 건가요? 짜장면 '독립일'을 앞두고…

 사귀다/피우다… 애매한 소리 '우'

 
오는 31일은 짜장면의 '독립기념일'입니다. 3년 전 8월31일, 자장면뿐 아니라 '짜장면'도 복수표준어가 됐는데요. 왠지 소스를 안 부은 듯한 '자장면'에 답답했던 국민들은 후련하다는 반응이었습니다.

일상에서 자주 쓰는 말이 표준어 규정에 안맞는 경우는 종종 있습니다. 물론, 그걸 모두 '자장면'처럼 인정해 줄 수는 없겠지요. 오늘은 준말로 표기할 때 조금 낯설게 느껴지는 모음 'ㅜ(우)'와 관련된 낱말 얘기입니다.

"사겨요"는 틀린 건가요? 짜장면 '독립일'을 앞두고…
/사진=jTBC 인기 프로그램 '비정상회담' 화면 갈무리(왼쪽).
왼쪽 사진은 한 TV프로그램의 장면들입니다. 한 사람이 한 마디 외친 이후 전원이 구호를 외치는데요. "사겨라! 사겨라!…." SNS 등에서도 이같이 쓰는 경우가 종종 보이는데요. 이 말은 맞춤법으로 보면 틀립니다. '사귀다'가 '어'가 붙어 변형되면 '사귀어라'가 맞습니다. 몸통이 되는 말이 살아야 되는 건데요. 다른 예를 들면 '주다→주어(줘)' 식입니다. 자막의 경우엔 'ㅜ'가 빠졌습니다.

문제는 우리가 '사귀어라'라고 말할 때, 4음절 아닌 3음절처럼 발음한다는 겁니다. 저 TV프로그램처럼 말이죠. 그 소리를 억지로 준말로 표시하자면 사진 오른쪽처럼 되겠지만, 저 글자는 한글엔 없습니다. "사.귀어.라!", 대안이 있을까요?

또 다른 낱말입니다. "담배 피우러 갑시다"와 "담배 피러 갑시다", 어느 쪽이 귀에 익으신가요? 맞춤법에 맞춘다면 '피우다'가 맞습니다. 하지만 일상에서는 물론 신문기사에서도 '피다'로 쓰는 사례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바람 폈어?"('피웠어'가 맞는 말)도 같은 경우죠.

그런데 말이죠. 표준어 규정 울타리 안에는 합법적(?)으로 '우'가 사라진 말이 몇 개 존재합니다.

고인 물을 떠서 밖으로 버릴 때 퍼낸다고 하지요. 기본꼴은 '푸다'인데 'ㅜ'가 사라졌습니다. 유일한 '우 불규칙' 동사입니다. 이 경우엔 오히려 '풔(X)'라고 하면 틀립니다.
띄어쓰기한다고 할 때 '띄다'는, 원래 '띄우다'가 맞지만 '우'가 빠진 것도 줄임말로서 인정받은 경우입니다. '(반지를 등) 끼우다'도 '끼다'로 줄일 수 있고, '외우다'도 줄임말 '외다'로 쓸 수 있습니다. '밤샘하다' 역시 '밤새움하다'가 본말이지만 줄임말로서 인정됩니다.

"사겨요"는 틀린 건가요? 짜장면 '독립일'을 앞두고…
/사진=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검색 결과 화면.
이처럼 '우'의 지위는 애매한 때가 있습니다. 그러면 '사귀다'와 '피우다'도 이런 경우로 인정받을 수 있을까요?

'사귀다→사겨(X)'는 말의 몸통을 바꾼 것이기 때문에, 기본형이 '사기다'로 바뀌지 않는 한 어려워 보입니다. 어색하더라도 현실적으로 표기는 '사귀어'로 할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피우다'는 좀 달라보입니다. '피다'가 피우다의 줄임말로 인정받는다면 "담배 펴"를 좀더 마음 편하게(?) 쓸 수 있을 겁니다. 앞의 예로 든 단어들처럼 말이죠.

국어사전에 변화가 생기려면, 무엇보다 우리말 사용자들이 많이 쓴다는 '보편성'이 필요합니다. 내 주변 사람들이 "담배 펴"라고 한다고 해도 다른 곳에선 "담배 피워"를 많이 쓸 수도 있겠지요. 만약 보편성이 인정된다면 심의를 거쳐 수정이 될 수 있습니다.

마무리 퀴즈입니다.

다음 ' ' 표시 단어 중 맞춤법에 어긋나지 않은 것은 무엇일까요?
1. 어제 날짜로 가격이 '바꼈어요'.    2. 쟤는 늘 게으름 '펴'.
3. 좋은 글 '퍼가요~'.         4. 담배 '핀' 놈 누구야?


 정답은 아래(↓)에


1은 '바뀌었어요'가 맞습니다. 기본형은 '바뀌다'입니다. 2는 현재로선 '피워'가 맞습니다. 4도 '피운'으로 써야 합니다.
3번은 기본형이 '푸다'지만 '우 불규칙'이 적용돼 맞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54 일본인 사진가가 찍은 이웃 나라…'내 마음속의 한국' file 웹관리자 2016-03-22 4251 2
53 우리말, 방어율?직구? 야구용어 속 '불편한' 진실 강정실 2015-03-21 4322 2
52 우리말, '다르다'와 '틀리다' 강정실 2015-03-21 4381 2
51 우리말, 사이시옷 강정실 2015-03-21 4391 2
50 고흐의 까마귀가 나는 밀밭이 있는 곳(파리 북부, 오베르 쉬르 오와즈) 웹관리자 2015-11-25 4414 3
49 우리말, '~ㄹ게'와 '거야' 강정실 2015-03-21 4444 2
48 베테랑 유아인 "어이가 없네"의 몇가지 설 file 강정실 2015-10-17 4478 1
47 사칙연산 우선순위는 어떻게 정해지는가? file 강정실 2015-10-17 4480 1
46 붴, 거시기, 시방… 우린 참말로 표준어다! 웹관리자 2014-10-24 4497 1
45 천경자 화백, 수개월 전 별세…‘잠자듯’ 눈 감은 꽃의 여인 file 웹관리자 2015-10-22 4535 2
44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 숨겨진 진실 file 웹관리자 2015-11-17 4555 1
43 우리말, -건대, 그리고 '대'와 '데' 강정실 2015-03-21 4614  
42 바뀐 문장부호 file 강정실 2015-06-10 4689 1
41 광복 후 첫 독도 조사 때 찍은 '강치 사진' 찾았다 file 웹관리자 2017-07-11 4838 1
40 타향살이 우리 문화재 8,400여 점 그 면면은 file 웹관리자 2016-04-11 4881 1
39 우리 땅에서 성장한 한자어는 우리말? file 강정실 2015-06-10 4950 1
38 이미 확보해 놓은 높은 벼슬, '떼어놓은 당상' file 강정실 2015-10-17 5013 2
37 고종황제 서양 주치의에 하사한 족자 문화재로 등록 file 웹관리자 2016-02-11 5151 1
36 우리말, 붴, 거시기, 시방… 우린 참말로 표준어다! 강정실 2015-03-21 5325 2
35 우리말, 고쳐야 할 일본식 지명 강정실 2015-03-21 537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