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몬드에 대한 진실과 오해

조회 수 6074 추천 수 1 2015.04.10 09:12:36

많이 먹으면 살찐다’, ‘지방이 많아 몸에 좋지 않다’?.

 

몸에 좋은 건 알지만 ‘많이’ 먹기에는 걱정부터 앞서는 아몬드. 아몬드에 대한 ‘보편적’ 오해를 풀기 위해 캘리포니아 아몬드 협회(Almond Board of California)는 9일 일반적으로 알려진 아몬드 관련 상식의 오해와 진실에 대해 설명했다.

 

restmb_idxmake.jpg

 


 

▶아몬드를 먹으면 살이 찐다?

아몬드는 나무에서 자라는 견과류(tree nut) 중 동일 그램(g)당 식이섬유 함유량이 가장 높다. 캘리포니아 아몬드 협회가 하루 섭취량으로 권장하는 아몬드 한 줌(약 23알, 30g)에는 일일 식이섬유 권장량의 16%인 4g의 식이섬유가 포함돼 있다. 특히 아침과 점심 사이에 간식으로 섭취하면 포만감을 유지하면서 불필요한 음식 섭취를 자제시켜 체중 관리에 도움을 준다.

지난해 12월 미국심장협회저널(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간식으로 동일 열량의 머핀이 아닌 아몬드를 규칙적으로 섭취할 경우 복부 지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결과 아몬드와 머핀 대조군의 체중 및 체지방량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아몬드 식단은 대조군 대비 복부 지방량, 허리 둘레, 하체 지방량을 크게 감소하는데 기여했다.

▶아몬드는 금세 산화된다?

아몬드는 다른 식품과 비교하여 보관 기간이 긴 편이기 때문에 습도와 온도만 주의하면 오랫동안 즐길 수 있다. 통 아몬드의 경우 서늘하고 건조한 곳(온도 5 ℃ 미만, 상대습도 65% 미만)에서 보관한다면 특별한 이상이 없는 경우 최대 2년까지 보관이 가능하다. 곤충 및 해충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소에 보관해야 하며, 신선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아몬드를 밀폐 공기에 넣어 냉장고나 냉동실에 보관하는 것이 가장 좋다.

 

▶아몬드는 피부 건강에 좋다?

아몬드에 함유된 비타민E는 활성산소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데 필요한 영양소로, 피부 건강과 노화 방지에 필수적인 항산화제 역할을 한다. 아몬드 한 줌(약 23알, 30g)에는 미국 의학 협회에서 권장하는 알파-토코페롤 형태의 비타민 E가 8mg 함유돼 있으며, 이는 한국인에게 필요한 하루 비타민E 권장량의 73%에 해당하는 풍부한 양이다. 자연 식품으로 아몬드에 함유되어 있는 알파-토코페롤 비타민E는 일반적인 건강 보조식품에 포함된 비타민E의 두 배에 해당한다.

아몬드의 갈색 껍질에 함유되어 있는 플라보노이드가 아몬드 속의 비타민 E와 시너지, 껍질째 섭취할 경우 항산화 작용에 더욱 도움이 된다.

 

▶아몬드는 고콜레스테롤, 고지방 식품이다?

아몬드에는 콜레스테롤이 함유되어 있지 않다. 오히려 아몬드를 지속적으로 섭취할 경우 체내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절하는데 도움이 된다. 캐나다 토론토 대학병원의 위험요인 개선 센터가 2014년 영국영양학저널(British Journal of Nutrition)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아몬드를 섭취한 피험자는 동일 열량의 머핀을 섭취한 피험자보다 몸에 나쁜 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낮아지고 몸에 좋은 HDL 콜레스테롤 수치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의 경우 아몬드 한 줌(30g, 23알)에 불포화지방이 약 12.5g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 중 몸에 이로운 단일불포화지방은 9g이다. 포화지방은 단 1g만이 함유되어 있다.

 

▶아몬드 섭취는 심장 건강에 좋다?

영국영양학저널에 발표된 동일 연구에 따르면, 아몬드의 꾸준한 섭취가 향후 10 년간 예상되는 관상 심장질환(CHD: Coronary Heart Disease)의 발병 위험률 감소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대조군과 비교할 때 아몬드를 섭취한 집단은 심장질환의 발병 위험을 감소시켜 주는 혈청중성지방, 올레산 및 단일 불포화 지방산의 농도가 아몬드 섭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아몬드의 일일 섭취를 30g 늘릴 경우, 향후 10 년간 관상 심장질환의 예상 발생률이 3.5%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2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1875 수제 햄버그(시카고)는 손님이 찾아 다닌다 file 안지현 2015-04-04 8656 1
1874 물절약 누진제로 수도료 오를듯 file 정순옥 2015-04-04 7981 1
1873 이순신 분실유물 6종 중 1종류, 박물관서 찾았다. file 정덕수 2015-04-05 6278 3
1872 백제의 혼이 서린 곳, 성흥산 file 제봉주 2015-04-06 10892 1
1871 레스토랑에서 굴을 시켰더니 진주가 무더기로 file 석송 2015-04-07 5972 3
1870 동요 '우리의 소원'의 작곡가 안병원 씨 별세 file 석송 2015-04-07 6950 1
1869 '전향’마저 과분한 당신들의 대한민국 file 강정실 2015-04-08 6717 13
1868 LA 대기오염 전국 최악수준 file 석송 2015-04-08 18780 7
1867 ‘재외동포재단 초청 장학생’ 모집 석송 2015-04-08 6258  
1866 남녀 '포개 묻은' 5세기 신라 무덤 경주서 발굴 file 웹관리자 2015-04-09 6411 1
1865 교통위반 티켓 ‘미친 범칙금’ file [1] 석송 2015-04-09 11691 7
» 아몬드에 대한 진실과 오해 file 석송 2015-04-10 6074 1
1863 문학계간지 첫 5쇄… 문학동네 겨울호 조용한 돌풍 file 석송 2015-04-11 9161 7
1862 빨간불 깜박거릴 때 횡단보도 진입 마구잡이 단속 티켓 file 석송 2015-04-13 26673 1
1861 한국문인협회 미주지회 문학 강의 안내 file [1] 석송 2015-04-14 6432 6
1860 캘리포니아 가뭄 file 김평화 2015-04-15 15074 2
1859 한국 여권의 파워, 세계 공동 2위 file 웹관리자 2015-04-16 6909 3
1858 반려견과 함께 하면 옥시토신 분비 촉진, 유대와 사회성 강화 file 웹관리자 2015-04-17 9808 1
1857 "단 음식이 스트레스 줄인다" 과학적 입증 석송 2015-04-17 4750 1
1856 수도사의 불륜이 낳은 그림 file 석송 2015-04-17 770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