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의 종류

조회 수 14886 추천 수 2 2015.04.30 18:07:13
cloudmap.jpg

                                                                                    <  구름의 분포도 >

 

 

구름의 종류

세계기상기구(WMO)에서는 구름을 10종류로 구분하고 있다. 이 10종류의 구름은 떠 있는 높이에 따라 상층운, 중층운, 하층운으로 나누어 부르고 있다.

 

 

 

기본형

명칭국제명기호높이(km)설명사진
상층운권운cirrusCi11~12푸른 하늘에 떠있는 하얀 섬유상태의 구름.
일명 새털구름이라고도 함.
날씨가 좋다가 나빠지기 시작하는
시초에 나타남
권운사진
권층운cirro-
stratus
Cs9~10일명 면사포구름이라고하는데
온하늘을 뒤덮는 이 구름에서는
햇무리, 달무리가 나타남.
온난전선과 저기앞의 전면에
나타나며, 비가 올 전조임
권층운사진
권적운cirro-
cumulus
Cc6~9흰색의 조그마한 구름덩어리로서,
물결모양 또는 생선비늘 모양으로
나타나므로 비늘구름이라고도 함.
온난전선과 저기압의 전면에 나타나며
비가 올 전조다.
권적운사진
중층운고적운Alto-
cumulus
Ac5~9흰색 또는 엷은 회색의 둥그런
큰 덩어리로서, 일명 양떼구름.
고적운사진 1
고적운사진 2
고층운Alto-
stratus
As3~4회색 또는 진한 회색의 장막 모양의
구름으로서, 온 하늘을 뒤덮는다.
날씨가 악화되는 도중이라고 할 수 있다.
고층운사진
난층운Nimbo-
stratus
Ns2~3어두운 흑색의 구름으로서
비 오기 전에 나타나서 불규칙하게
무너지면 편란운이라 부르며,
비가오기 시작하기 때문에
보통 비구름이라고도 부른다.
난층운사진
하층운층적운Strato-
cumulus
Sc1~2어두운 회색의 커다란 구름덩어리로서,
온 하늘을 뒤덮으나 구름덩어리 사이로
푸른 하늘이 보이고 긴 언덕 모양으로
보일 때가 많다.비 오기 전후에 자주 등장.
가장 많이 우리 눈에 띄는 구름이다.
층적운사진
층운StratusSt0.1~0.5안개나 연기같은 구름의 층으로서
안개보다는 높지만 지면 가까이
붙어 있어서 안개구름이라고도 한다.
층운사진 1
층운사진 2
적운CumulusCu1~2꼭대기는 둥글고 밑은 평평하며,
뭉개구름이라고 함.
날씨가 좋은 봄, 가을에 자주 등장.
적운사진 1
적운사진 2
적란운Cumulo-
nimbus
Cb1~10웅대한 진한 구름으로서,꼭대기는
많은 구름 봉우리가 솟구치고
밑은 흩어져 있다.
소나기,우박,천둥,번개를 동반하는 구름.
적란운사진

변형

명칭국제명설명사진
파상운Billow clouds구름이 여러 갈래로 평행하게 줄지어 떠 있는 형태로서
마치 바다의 물결처럼 보인다.
이 구름은 고적운 또는 층적운에서 주로 나타난다.
파상운사진
탑상운Alto-cumulus
custellatus
하나의 구름에서 여러 개의 구름탑이 솟아오를 때가 있다.
고적운 또는 적운에서 주로 나타난다.
탑상운사진
렌즈운Lenticular clouds볼록렌즈와 같은 모양으로
권적운, 고적운, 층적운 등에서 나타난다.
렌즈운 사진 1
렌즈운 2
유방운Mammato-
cumulus
구름의 밑면이 여성 젖꼭지와 같이 몽알몽알 지어진다.
적란운에서 많이 나타나나 난층운에서도 가끔 나타남.
유방운사진
수렴운Comverging
striated clouds
한 곳에 수렴하고 있는 구름의 모양으로서,
이 구름은 실제는 여러 갈래로 평행하게 줄지어
떠 있으나 투시관계로 그렇게 보인다.
수렴운사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114 문체 웹관리자 2014-09-21 7964  
113 우리말, -건대, 그리고 '대'와 '데' 강정실 2015-03-21 4614  
112 논틀밭틀길, 고샅, 고샅길, 고샅고샅, 숫눈길, 샅 웹담당관리자 2024-01-14 76  
111 젯밥과 잿밥 file 웹담당관리자 2024-02-06 73  
110 바람의 종류 웹관리자 2014-09-21 13406 1
109 아름다운 우리말, 비의 종류 웹관리자 2014-09-21 8032 1
108 띄어쓰기 웹관리자 2014-09-21 6645 1
107 붴, 거시기, 시방… 우린 참말로 표준어다! 웹관리자 2014-10-24 4497 1
106 덕수궁 그리고 돌담길..132년 만에 '완주' 가능 강정실 2016-02-03 9207 1
105 높임말의 올바른 사용법 강정실 2015-03-21 10663 1
104 우리말, 알아도 틀리게 쓰는 말 '바라/바래' 강정실 2015-03-21 5502 1
103 우리말, '뭐'/'머', 구어적 표현이 표준어가 된 사례 강정실 2015-03-21 7397 1
102 우리말, 아라비아 숫자를 읽고 쓰는 법 강정실 2015-03-21 11395 1
101 우리말, '나아(낫다)'와 '낳아(낳다)' 강정실 2015-03-21 21358 1
100 우리말, "취직하려면… 입문계가 좋아요? 시럽계가 좋아요?" 강정실 2015-03-21 3511 1
99 우리말, '내거'와 '내꺼' 강정실 2015-03-21 9448 1
98 우리말, 사귀다/피우다… 애매한 소리 '우' 강정실 2015-03-21 8985 1
97 국립국어원 발표 2047신어의 경향 file 강정실 2015-03-28 3723 1
96 다르다와 틀리다와의 차이점 file 웹관리자 2015-05-10 5765 1
95 황태자 영친왕의 정혼녀 file 웹관리자 2015-05-19 338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