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 김정희의 묵란도와 향기

조회 수 13334 추천 수 3 2015.06.18 09:06:57

kukminilbo_20150619002100203tfsa.jpg

 

추사 김정희(1786∼1856)에게 글씨와 그림은 삶의 표현이었다. 여러 서체의 예술성을 아우른 서체는 추사체로 이름이 높다. 추사체는 굵고 힘찬 글씨로 강한 의지를 드러내거나 돌에 새긴 듯 절제 있는 글씨로 오묘한 변화를 보여준다. 외척 세도권력에게 밀려나 인생의 절정기를 유배지에서 보낸 안타까운 삶이 녹아 있다.

추사의 글씨엔 그림이 곁들여져 내면을 전하는 또 다른 수단이 된다. 검은 먹물을 찍은 붓이 한 가닥씩 솟아오르고 휘어지는 선으로 변하면서 낙락장송이 되기도 하고 바위가 되기도 한다. 추사의 삶은 난초 그림에서 개화한다. 보이지 않는 뿌리 다발에서 수많은 난초 잎이 피어났다. 추사는 이런 난초로 인생과 학문을 말하고, 예술을 이야기했다.
김정희 ‘난맹첩’의 ‘국향군자’. 간송미술문화재단 제공↑ 김정희 ‘난맹첩’의 ‘국향군자’. 간송미술문화재단 제공
추사는 단 한 포기의 난 그림으로 ‘나라 제일의 향기인 군자(國香君子)’를 표현하였다. 중앙에 솟아난 성긴 난 잎들 속에서 솟구쳐 나온 두 줄기 잎이 교차하며 좌우로 뻗어나가 상과 하를 이룬다. 올라가든 내려오든 중앙에 굳게 뿌리내린 난은 군자의 삶을 보여준다.

이 그림은 8월 30일까지 열리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의 간송문화전 제4부 ‘매·난·국·죽-선비의 향기’ 전시회에 7월 2일부터 교체 작품으로 전시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2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2015 내 말 맞지? [1] 유진왕 2021-05-19 93  
2014 [자유시]답답한 여름 [2] 박은경 2021-06-05 93  
2013 삶의 변화 박은경 2021-09-07 93  
2012 고추짬뽕/연시조 박은경 2021-09-15 93  
2011 그림자/은파 [1] 오애숙 2021-11-07 93  
2010 [시]----가을바람의 사유/은파--------[SH] [2] 오애숙 2021-11-07 93  
2009 작은 일에 감사하기 [자유시] 박은경 2022-01-14 93  
2008 꿈길에서/ 자유시 박은경 2021-04-09 94 1
2007 연애편지 [2] 박은경 2021-06-08 94 1
2006 내가 어디 사람이지? [1] 유진왕 2021-06-12 94  
2005 연중행사 박은경 2021-07-01 95  
2004 낙엽 시리즈 3--마른잎 박은경 2020-11-26 95 1
2003 바람 박은경 2020-12-14 95 1
2002 아궁이 file 박은경 2021-01-06 95 1
2001 애완견과 어머니 박은경 2021-03-22 95 1
2000 [연시조] 이미 알고도,,, 박은경 2021-03-28 95 1
1999 밤바다 [2] 박은경 2021-06-14 95  
1998 빗 속의 장미 file 박은경 2021-07-29 95  
1997 [단시조] 전설의 고향 박은경 2021-08-04 95  
1996 [시조] 제주도에서 박은경 2020-06-28 9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