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 김정희의 묵란도와 향기

조회 수 13334 추천 수 3 2015.06.18 09:06:57

kukminilbo_20150619002100203tfsa.jpg

 

추사 김정희(1786∼1856)에게 글씨와 그림은 삶의 표현이었다. 여러 서체의 예술성을 아우른 서체는 추사체로 이름이 높다. 추사체는 굵고 힘찬 글씨로 강한 의지를 드러내거나 돌에 새긴 듯 절제 있는 글씨로 오묘한 변화를 보여준다. 외척 세도권력에게 밀려나 인생의 절정기를 유배지에서 보낸 안타까운 삶이 녹아 있다.

추사의 글씨엔 그림이 곁들여져 내면을 전하는 또 다른 수단이 된다. 검은 먹물을 찍은 붓이 한 가닥씩 솟아오르고 휘어지는 선으로 변하면서 낙락장송이 되기도 하고 바위가 되기도 한다. 추사의 삶은 난초 그림에서 개화한다. 보이지 않는 뿌리 다발에서 수많은 난초 잎이 피어났다. 추사는 이런 난초로 인생과 학문을 말하고, 예술을 이야기했다.
김정희 ‘난맹첩’의 ‘국향군자’. 간송미술문화재단 제공↑ 김정희 ‘난맹첩’의 ‘국향군자’. 간송미술문화재단 제공
추사는 단 한 포기의 난 그림으로 ‘나라 제일의 향기인 군자(國香君子)’를 표현하였다. 중앙에 솟아난 성긴 난 잎들 속에서 솟구쳐 나온 두 줄기 잎이 교차하며 좌우로 뻗어나가 상과 하를 이룬다. 올라가든 내려오든 중앙에 굳게 뿌리내린 난은 군자의 삶을 보여준다.

이 그림은 8월 30일까지 열리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의 간송문화전 제4부 ‘매·난·국·죽-선비의 향기’ 전시회에 7월 2일부터 교체 작품으로 전시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2015 쓰레기로 만든 오케스트라 file [1] 정덕수 2015-03-14 12463 2
2014 술 때문에… 매일 6명 숨진다 file 제봉주 2015-06-05 12438 1
2013 이중섭의 그림편지 file 정순옥 2014-12-22 12364 1
2012 한국인 개발한 시각장애인용 '만지는 시계' file [1] 석송 2015-03-27 12310 1
2011 강치의 천국, 독도 file 웹관리자 2016-08-18 12203 1
2010 초콜릿, '제4의 비타민'? file 웹관리자 2014-10-06 12000 6
2009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서관 16곳(1) file 이병호 2015-07-27 11916 1
2008 고흐의 그림 이야기 ‘별이 빛나는 밤’ file 강정실 2015-03-16 11912 1
2007 삼일절을 영어로 설명하면 어떻게 할까요? [2] 오애숙 2018-02-22 11888  
2006 참새가 벚꽃을 따는 이유는? file 웹관리자 2016-04-06 11788 4
2005 교통위반 티켓 ‘미친 범칙금’ file [1] 석송 2015-04-09 11691 7
2004 "직지보다 앞선 '증도가자'"…세계 최고 금속활자 정순옥 2015-02-08 11676 1
2003 알래스카서 60대 곰에 물려 죽어 웹관리자 2014-10-24 11656 1
2002 세계의 아름다운 스카이라인 Top8 [1] 웹관리자 2015-12-14 11651 1
2001 잠들지 않는 도시' 뉴욕의 밤' 신성철 2015-01-27 11623 1
2000 장례문화(葬禮文化) file 신성철 2015-04-03 11552 1
1999 사찰 음식의 종류와 금기 음식(오신채) 서용덕 2016-05-09 11491 1
1998 사라진 나치 황금열차 발견 file 웹관리자 2015-08-29 11444 1
1997 '자식보다 낫다' 반려동물 천 만 시대 file [1] 이병호 2014-11-07 11404 1
1996 바닷가서 펼치는 '연날리기 행사' file 석송 2015-04-02 1136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