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니스트 백건우

조회 수 4045 추천 수 1 2015.06.24 16:44:57

7일 동안 8번. 피아니스트 백건우(69·사진)가 2007년 12월 베토벤을 연주한 기록이다. 그는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32곡 전곡을 일주일 동안 매일 연주했다. 이틀째는 하루 두 번 무대에 올랐을 정도의 장정(長程)이었다. 이후 백건우와 베토벤은 한동안 짝을 이룬 키워드였다.

 그 후 백건우의 베토벤을 들을 수 없었다. 백건우는 한 작곡가를 골라 오랜 시간 연구하고 파고드는 피아니스트다. 베토벤 이후 그는 슈베르트·브람스에 빠져들었다. 소나타·협주곡으로 국내 청중을 만났다.

 

joongang_20150625003319237zqqc.jpg

 

 

 그가 8년 만에 다시 베토벤을 꺼내들었다. 26·27일 오후 8시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협주곡 3·4번을 각각 연주한다. 드레스덴 필하모닉(지휘 미하엘 잔데를링)과 함께하는 무대다. 이틀 연속 곡목을 바꿔가며 베토벤의 세계를 다시 풀이한다.

 프랑스에 머물고 있는 백건우는 16일 전화 인터뷰를 통해 “베토벤 곁을 떠날 수 없었다”고 말했다. “작품 곳곳에서 상상도 못할 음악의 혁신을 보여주는 베토벤은 탐험할수록 신비한 작곡가”라며 “내년 칠순이 되기 전에 베토벤의 세계를 더 들여다보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11월 다시 내한해 뮌헨 필하모닉(지휘 발레리 게르기예프)과 베토벤 협주곡 5번 ‘황제’를 협연하면서 베토벤의 후반기 협주곡 시리즈를 완성한다.

 한 작곡가의 작품을 집중적으로 연주하는 이유는 “작곡가의 세계를 통째로 보기 위해서”다. 그는 “따로 떨어뜨려 연주하면 하나의 작품을 완전히 이해할 수 없다”며 “원래 베토벤 협주곡을 한 곡만 공연할 때도 5곡 전부를 동시에 공부하는 방식으로 연주해왔다”고 설명했다.

 9월 독주회에서는 스크리아빈의 세계를 탐구한다. 올해 서거 100주년을 맞은 러시아 작곡가다. 그는 “한 작곡가를 들여다보며 연주하는 방식에는 당연히 시간이 더 걸린다. 하지만 시각을 넓히기 위해 늘 선택하게 된다”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2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795 붉은 화성, 푸른 노을 file 웹관리자 2015-07-09 5482 1
794 회수된 총기들 산더미 file 석송 2015-07-07 3860 1
793 전자 책 file [1] 웹관리자 2016-03-02 4918 1
792 일본 근대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재 file 정덕수 2015-07-06 3404 1
791 강원도 저수지서 ‘피라니아’ 발견···“관상용으로 키우다 버린 듯” file 석송 2015-07-04 4418 1
790 백제역사유적지 11번째 세계유산등재 file 석송 2015-07-04 3747 1
789 IS가 2천년 된 3m 높이의 사자상 파괴 file [1] 석송 2015-07-03 4422 1
788 17기 평통위원 LA 173명 file [1] 석송 2015-07-03 7234 1
787 '노인케어’자격증 도전 file 웹관리자 2015-07-03 5853 1
786 멕시코만 기름유출 BP그룹 187억달러 벌금 file 웹관리자 2015-07-03 16062 1
785 욕실에 악어가 file 석송 2015-07-01 11135 1
784 안락사 file 석송 2015-07-01 9287 1
783 제12회 백두산 역사문화탐방 file 정종진 2015-06-25 5938 1
» 피아니스트 백건우 file 석송 2015-06-24 4045 1
781 우울할 땐 '즐거운 기억' 떠올려라 file 이숙이 2015-06-18 4461 1
780 비행기 객실 창의 아랫부분에 있는 구멍, 왜? file 강정실 2015-06-15 5101 1
779 조지아 홍수로 동물원 맹수 탈출 비상 file 석송 2015-06-14 4759 1
778 길거리 공짜, 휴대신청 전화 조심 석송 2015-06-13 4154 1
777 크눌프 '데미안·수레바퀴 아래서' 번역서 표절 논란 file 웹관리자 2015-06-11 6772 1
776 창의문 옛길 제 모습 찾는다 file 석송 2015-06-11 398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