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든' '던' ?

조회 수 5606 추천 수 1 2015.07.04 10:42:03

201507040217_11130923145752_1_99_20150704021805.jpg


 

“죽이 되던 밥이 되던 해봐야지.” “오빠는 잘 있든?”

위에서 ‘던’은 ‘든’으로, ‘든’은 ‘던’으로 써야 합니다. ‘든’은 ‘든지’의 준말로, 어느 것이 선택돼도 차이가 없는 둘 이상을 나열함을 뜻합니다. ‘사과든 배든…’처럼. 또 나열된 것 중에서 어느 것이든 선택될 수 있음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계속 가든 여기서 굶어 죽든…’같이 말할 수 있지요.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중에서 어느 것이 일어나도 뒤의 것이 성립하는 데 아무 상관이 없음을 나타내는 말로도 쓰입니다. ‘노래를 부르든 춤을 추든’처럼 말입니다.

‘던’은 어떤 일이 과거에 완료되지 않고 중단되었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그냥 가던 길 가세요’처럼. 또 어떤 이에게 과거에 경험했거나 알게 된 사실을 회상하여 답하도록 묻는 말입니다. ‘더냐’보다 친근한 느낌을 줍니다. ‘그 여자가 그리도 좋던?’처럼 말하지요. ‘던지’는 ‘몸이 아팠던지 그는 움직이지 못했다’ ‘꽃이 얼마나 곱던지 눈물이 났다’ ‘그가 불쌍했던지 모두 돌아보았다’처럼 말해야 합니다. ‘든지’가 아닙니다.

‘든’과 ‘던’, 일상에서 잘못 쓰이는 언어 중 하나입니다. 옳고 그름 생각 없이 뭐든 하던 대로만 하면 나쁜 습관이 들 수 있지요. 말도 그렇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54 “문학은 사람의 목소리, 결코 망하지 않을 거요!” file 웹관리자 2016-03-31 3310 1
53 타향살이 우리 문화재 8,400여 점 그 면면은 file 웹관리자 2016-04-11 4881 1
52 왜 청자뿐일까…해저유물 미스테리 file 웹관리자 2016-04-14 4179 1
51 "조선 사신으론 내가 적임" 명·청 때 서로 오려 한 까닭 file 웹관리자 2016-09-11 3196 1
50 새로 표준어로 인정된 어휘 웹관리자 2016-12-30 3975 1
49 42가지 언어로 옮긴 한국문학 한자리에 file 웹관리자 2017-07-08 2439 1
48 가장 오래된 '흥부전' 필사본 file 웹관리자 2017-07-08 2464 1
47 18세기 조선통신사가 일본서 받은 금풍경 3점 발견 file 웹관리자 2017-07-08 2543 1
46 광복 후 첫 독도 조사 때 찍은 '강치 사진' 찾았다 file 웹관리자 2017-07-11 4838 1
45 '독도는 일본땅' 주장 반박할 130년 전 日검정교과서 발견 웹담당관리자 2017-08-07 2187 1
44 이수지, 韓작가 최초 ‘아동문학 노벨상’ 안데르센상 수상 file 웹담당관리자 2022-03-22 637 1
43 백석의 연인 ‘란’과 결혼한 경성제대 反帝동맹 주동자 신현중 file 강정실 2022-03-12 1731 1
42 구한말 돈으로 관직 거래한 문서 '임치표' 확인 file 강정실 2015-11-10 2494 2
41 한글 논리적인 글자 (동영상) 웹관리자 2014-10-15 2582 2
40 천경자 화백, 수개월 전 별세…‘잠자듯’ 눈 감은 꽃의 여인 file 웹관리자 2015-10-22 4535 2
39 우리말, '이/히' 구분법 [1] 강정실 2015-03-21 10048 2
38 우리말, 비슷한 발음 강정실 2015-03-21 8108 2
37 우리말, '쇠다/쉬다' 강정실 2015-03-21 9146 2
36 우리말, '~ㄹ게'와 '거야' 강정실 2015-03-21 4444 2
35 우리말, '신정' '구정'의 어원과 바른표기 강정실 2015-03-21 1114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