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연’과 ‘재현’

조회 수 3477 추천 수 2 2015.07.12 09:06:26

khan_OguOMM_99_20150617231513.jpg

 

 

 

경향신문 근처 덕수궁 주변은 늘 관광객으로 북적인다. 특히 덕수궁 앞 조선시대 수문장 교대의식이 ‘재연/재현’되는 시간이면 관광객으로 발 디딜 틈이 없다. 그런데 요즘은 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때문인지 거리가 한산하다.

‘재연’과 ‘재현’은 발음과 의미가 서로 비슷해 헷갈리기 쉬운 말이다. 똑 부러지게 구별하기도 쉽잖다.

재연(再演)은 ‘한번 행하였던 일을 되풀이하는 것’을 뜻한다. ‘범인은 현장 검증에서 태연히 범행을 재연했다’처럼 동작이나 행위가 되풀이될 때 쓴다.

반면 재현(再現)은 다시 나타난 현상을 뜻한다. ‘선사시대 모습을 재현한 움막들이 들어서 있다’처럼 현상에 강조점을 둔다. ‘지금은 사라진 어떤 것이 다시 나타나거나 나타나게 하는 것’이 재현이다.

일반적으로 행위가 반복되는 것은 ‘재연’, 옛 모습을 되살리는 것은 ‘재현’을 쓴다.

그런데 문제는 같은 문장에서 ‘재연’과 ‘재현’, 둘 다 쓸 수 있는 경우다.

‘6·25 전쟁과 같은 동족상잔의 참사가 재연/재현되어서는 안된다’의 경우 싸우고 죽이는 동적인 행동에 초점을 맞춘다면 ‘재연’, 전쟁의 결과 나타난 현상에 강조점을 둔다면 ‘재현’을 써야 한다. 또한 덕수궁 앞에서 벌어지는 ‘수문장 교대의식’을 표현할 때 의식이 진행되는 동적 상황을 강조하면 ‘재연’, 수문장의 복장 등 현상, 정적인 것에 주안점을 둔다면 ‘재현’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추천 수
114 띄어쓰기 웹관리자 2014-09-21 6645 1
113 문체 웹관리자 2014-09-21 7965  
112 바람의 종류 웹관리자 2014-09-21 13407 1
111 아름다운 우리말, 비의 종류 웹관리자 2014-09-21 8032 1
110 한글 논리적인 글자 (동영상) 웹관리자 2014-10-15 2582 2
109 별사진 찍기 file 웹관리자 2014-10-18 7190 4
108 붴, 거시기, 시방… 우린 참말로 표준어다! 웹관리자 2014-10-24 4497 1
107 높임말의 올바른 사용법 강정실 2015-03-21 10668 1
106 우리말, -건대, 그리고 '대'와 '데' 강정실 2015-03-21 4614  
105 우리말, '이/히' 구분법 [1] 강정실 2015-03-21 10048 2
104 우리말, 비슷한 발음 강정실 2015-03-21 8108 2
103 우리말, '쇠다/쉬다' 강정실 2015-03-21 9146 2
102 우리말, '~ㄹ게'와 '거야' 강정실 2015-03-21 4444 2
101 우리말, '신정' '구정'의 어원과 바른표기 강정실 2015-03-21 11146 2
100 우리말, 된소리(쌍자음)가 받침에 올 때 강정실 2015-03-21 13043 3
99 우리말, 고쳐야 할 일본식 지명 강정실 2015-03-21 5376 2
98 우리말, '토종 우리말' 같은 외국에서 들어온 말 강정실 2015-03-21 7210 2
97 우리말, 개비/가치/개피 바로알기 강정실 2015-03-21 5402 2
96 기사에서도 틀린 말들이… 강정실 2015-03-21 7048 3
95 우리말, '도찐개찐~' 강정실 2015-03-21 377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