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물·버나·살판·어름에 관한 해석

조회 수 2182 추천 수 1 2015.08.25 15:13:49

201508220228_11130923210834_1_99_20150822022905.jpg

 


 

 

 

‘남사당’은 ‘무리를 지어 이곳저곳 돌아다니면서 소리나 춤을 팔던 남자’를 이르는 말입니다. ‘남사당놀이’는 길놀이를 하며 놀이판에 도착해 풍물, 버나, 살판, 어름, 덧보기, 덜미의 순서로 이어지는 남사당패의 놀이를 뜻하지요.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중요무형문화재 제3호이기도 하고요.

남사당놀이에서 순서대로 진행되는, 좀 생소하지만 우리가 기억해야 할 여섯 가지 놀이들을 볼까요.

첫 번째 ‘풍물’은 꽹과리 태평소 북 장구 징 따위로 흥을 돋우는 것입니다. 다소 거칠고 힘찬 윗다리 가락을 바탕으로 하지요. 두 번째 ‘버나’는 사발이나 대접을 두어 뼘 되는 막대기나 담뱃대 같은 것으로 돌리는 묘기입니다. 세 번째 ‘살판’은 ‘살판뜀’이라고도 하는데 몸을 날려 넘는 땅재주를 말하지요.

네 번째 ‘어름’은 줄타기 재주이며, 다섯 번째 ‘덧보기’는 탈놀음으로, 춤보다는 재담과 몸놀림이 우세한 풍자극입니다. 여섯 번째 ‘덜미’는 꼭두각시놀음을 말하는데 목덜미를 잡고 논다는 데서 나온 말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74 광복 후 첫 독도 조사 때 찍은 '강치 사진' 찾았다 file 웹관리자 2017-07-11 4838 1
73 바뀐 문장부호 file 강정실 2015-06-10 4689 1
72 우리말, -건대, 그리고 '대'와 '데' 강정실 2015-03-21 4614  
71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 숨겨진 진실 file 웹관리자 2015-11-17 4555 1
70 천경자 화백, 수개월 전 별세…‘잠자듯’ 눈 감은 꽃의 여인 file 웹관리자 2015-10-22 4535 2
69 붴, 거시기, 시방… 우린 참말로 표준어다! 웹관리자 2014-10-24 4497 1
68 베테랑 유아인 "어이가 없네"의 몇가지 설 file 강정실 2015-10-17 4478 1
67 사칙연산 우선순위는 어떻게 정해지는가? file 강정실 2015-10-17 4472 1
66 우리말, '~ㄹ게'와 '거야' 강정실 2015-03-21 4444 2
65 고흐의 까마귀가 나는 밀밭이 있는 곳(파리 북부, 오베르 쉬르 오와즈) 웹관리자 2015-11-25 4414 3
64 우리말, 사이시옷 강정실 2015-03-21 4384 2
63 우리말, '다르다'와 '틀리다' 강정실 2015-03-21 4381 2
62 우리말, 방어율?직구? 야구용어 속 '불편한' 진실 강정실 2015-03-21 4318 2
61 일본인 사진가가 찍은 이웃 나라…'내 마음속의 한국' file 웹관리자 2016-03-22 4251 2
60 2015년의 신조어 file 웹관리자 2015-12-16 4250 2
59 왜 청자뿐일까…해저유물 미스테리 file 웹관리자 2016-04-14 4179 1
58 <런닝맨>은 좋지만 '런닝맨'은 싫어요 file 강정실 2015-07-13 4084 1
57 우리말, '~에'와 '~에게' 강정실 2015-03-21 4028 2
56 새로 표준어로 인정된 어휘 웹관리자 2016-12-30 3975 1
55 세종의 아들들이 거쳐간 妓女 초요갱… 불나방처럼 달려든 사내들 file 웹관리자 2015-11-17 383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