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물·버나·살판·어름에 관한 해석

조회 수 2182 추천 수 1 2015.08.25 15:13:49

201508220228_11130923210834_1_99_20150822022905.jpg

 


 

 

 

‘남사당’은 ‘무리를 지어 이곳저곳 돌아다니면서 소리나 춤을 팔던 남자’를 이르는 말입니다. ‘남사당놀이’는 길놀이를 하며 놀이판에 도착해 풍물, 버나, 살판, 어름, 덧보기, 덜미의 순서로 이어지는 남사당패의 놀이를 뜻하지요.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중요무형문화재 제3호이기도 하고요.

남사당놀이에서 순서대로 진행되는, 좀 생소하지만 우리가 기억해야 할 여섯 가지 놀이들을 볼까요.

첫 번째 ‘풍물’은 꽹과리 태평소 북 장구 징 따위로 흥을 돋우는 것입니다. 다소 거칠고 힘찬 윗다리 가락을 바탕으로 하지요. 두 번째 ‘버나’는 사발이나 대접을 두어 뼘 되는 막대기나 담뱃대 같은 것으로 돌리는 묘기입니다. 세 번째 ‘살판’은 ‘살판뜀’이라고도 하는데 몸을 날려 넘는 땅재주를 말하지요.

네 번째 ‘어름’은 줄타기 재주이며, 다섯 번째 ‘덧보기’는 탈놀음으로, 춤보다는 재담과 몸놀림이 우세한 풍자극입니다. 여섯 번째 ‘덜미’는 꼭두각시놀음을 말하는데 목덜미를 잡고 논다는 데서 나온 말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114 우리말, '나아(낫다)'와 '낳아(낳다)' 강정실 2015-03-21 21361 1
113 구름의 종류 file 강정실 2015-04-30 14894 2
112 바람의 종류 웹관리자 2014-09-21 13407 1
111 우리말, 된소리(쌍자음)가 받침에 올 때 강정실 2015-03-21 13043 3
110 우리말, 과자이름 속 맞춤법 강정실 2015-03-21 11686 3
109 우리말, 아라비아 숫자를 읽고 쓰는 법 강정실 2015-03-21 11395 1
108 우리말, '신정' '구정'의 어원과 바른표기 강정실 2015-03-21 11146 2
107 높임말의 올바른 사용법 강정실 2015-03-21 10668 1
106 우리말, '이/히' 구분법 [1] 강정실 2015-03-21 10048 2
105 우리말, 담그다/담구다 잠그다/잠구다 치르다/치루다 강정실 2015-03-21 10036 2
104 우리말, 어떻게/어떡해, 안/않 강정실 2015-03-21 9828 2
103 우리말, '내거'와 '내꺼' 강정실 2015-03-21 9451 1
102 덕수궁 그리고 돌담길..132년 만에 '완주' 가능 강정실 2016-02-03 9226 1
101 우리말, '쇠다/쉬다' 강정실 2015-03-21 9146 2
100 우리말, 사귀다/피우다… 애매한 소리 '우' 강정실 2015-03-21 8987 1
99 우리말, 비슷한 발음 강정실 2015-03-21 8108 2
98 아름다운 우리말, 비의 종류 웹관리자 2014-09-21 8032 1
97 문체 웹관리자 2014-09-21 7965  
96 우리나라의 국명은 한국, 정확하게는 대한민국이다 웹관리자 2016-01-19 7928 1
95 오금이 저리다 file 웹관리자 2016-03-21 776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