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한가위 보름달이 18년 만에 가장 크고 밝아 그 어느때보다 달을 기다리게 한다. SNS를 타고 ‘슈퍼문처럼 한 해가 풍성하길’기원하는 글들이 넘쳐난다.

평소 소원했던 이들에게 한가위 인사를 쓰면서 잠깐 망설이는 순간이 있다. 맞춤법 문제다. “한가위 맞이하세요”가 맞을까? “한가위 맞으세요”가 맞나 고개가 갸웃거린다.

한글 맞춤법에 다르면 ‘맞이하다(맞이하세요)’는 ‘새해를 맞이하다/문 앞에서 손님을 맞이했다’와 같이 ‘오는 것을 맞다’를 의미한다. 또 ‘맞다(맞으세요)’는 ‘새해를 맞다/추석을 맞다’와 같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오는 어떤 때를 대하다’를 의미한다.

따라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온 ‘한가위’를 대한다는 의미일 때는 ‘한가위를 맞다’로, ‘한가위가 오는 것을 맞는다’를 의미할 때는 ‘한가위를 맞이하다’로 쓸 수 있다.

 

 

20150927000032_0_99_20150927095003.jpg


 


표현의 의도에 따라 ‘맞이하다’와 ‘맞다’ 모두 쓸 수 있다.

올해 한가위 보름달이 가장 밝은 이유는 달의 크기의 변화는 달이 지구 주위를 타원궤도로 공전하면서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변하기 때문이다. 달과 지구 사이의 평균거리는 약 38만km인데, 올해 한가위 보름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는 약 35만 km이다. 올해 가장 작았던 3월 6일의 보름달에 비해 약 14% 크고 30% 이상 밝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34 전자책(eBook)에 대한 유혹 file [1] 웹관리자 2016-08-31 2660 2
33 한글 논리적인 글자 (동영상) 웹관리자 2014-10-15 2582 2
32 닐리리와 늴리리 웹관리자 2015-09-04 2572 1
31 18세기 조선통신사가 일본서 받은 금풍경 3점 발견 file 웹관리자 2017-07-08 2543 1
30 160년전 秋史 친필 서첩, 日서 찾았다 file 웹관리자 2017-02-26 2510 2
» 한가위 ‘맞으세요’가 맞나, ‘맞이하세요’가 맞나? file 강정실 2015-10-10 2508 1
28 구한말 돈으로 관직 거래한 문서 '임치표' 확인 file 강정실 2015-11-10 2494 2
27 '잎새' '푸르르다' '이쁘다' 등 표준어 인정 웹관리자 2015-12-14 2487 1
26 유감은 사과일까? 아닐까? file 강정실 2015-10-10 2470 1
25 가장 오래된 '흥부전' 필사본 file 웹관리자 2017-07-08 2464 1
24 틀리기 쉬운 맞춤법 강정실 2015-08-17 2461 1
23 42가지 언어로 옮긴 한국문학 한자리에 file 웹관리자 2017-07-08 2439 1
22 '자정'은 어제일까요? 오늘일까요? file 웹관리자 2015-09-10 2412 1
21 '이크!'에 대한 것 file 강정실 2015-10-17 2391 1
20 웬만한 건 다 ‘웬’, 왠은 ‘왠지’로만 file 강정실 2015-08-01 2355 1
19 설욕은 벼르고, 칼날은 벼리고! file 웹관리자 2015-09-04 2349 1
18 부시를 쳐서 불을 붙이는 ‘부싯깃’ file 웹관리자 2015-09-16 2319 2
17 잔치는 벌이고 격차는 벌리고! file 웹관리자 2015-07-24 2296 1
16 국사편찬위, 내달 업데이트 완료…2억4천만자 '대기록' file 웹관리자 2015-11-11 2189 2
15 '독도는 일본땅' 주장 반박할 130년 전 日검정교과서 발견 웹담당관리자 2017-08-07 218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