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0272228_11130923297150_1.jpg

 

 

“지난 4∼5월만 해도 칠게들이 별로 없었는데 요즘은 3.3㎡당 30∼40마리가 돌아다니면서 생태계가 회복돼 새떼들도 하얗게 날아와 갯벌에서 휴식을 즐기고 있습니다.”

인천 영종도 주민들과 환경단체가 끈질긴 노력 끝에 근처 갯벌을 칠게들의 보금자리로 다시 복원해 냈다. 인천 영종도 주민 140여명으로 구성된 해양환경감시단 대표 홍소한(54)씨는 27일 “10여년 동안 감시활동을 한 결과 마침내 갯벌을 살려냈다”고 말했다.

칠게는 갯벌에 구멍을 뚫는 습성이 있어 조개나 미생물이 숨쉬며 살수 있는 생태공간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영종도 갯벌에 낙지가 많은 것도 칠게가 먹잇감이 돼주기 때문이다. 칠게는 갯벌 생태계에 꼭 필요한 존재다.

영종도 부근 갯벌은 과거 발디딜 틈이 없을 정도로 칠게가 많았으나 무분별한 포획으로 한때 거의 눈에 띄지 않을 정도로 개체수가 줄었다. 포획된 칠게는 주로 낙지잡이 먹이로 이용되며, ㎏ 당 3000원 정도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영종도 부근 갯벌에는 불법 칠게 잡이 도구가 널려 있었다. 갯벌에 굴을 파고 들어가는 습성 때문에 불법 조업꾼들이 설치한 파이프를 타고 갯벌에 숨겨진 양동이에 빠져 잡히게 된다. 주민들과 환경단체는 칠게 불법 포획자들과 전쟁을 벌여왔지만 칠게 잡이가 워낙 돈벌이가 되다보니 쉽게 사라지지 않았다.

 

321B2.jpg

 

결국 인천녹색연합은 지난 3월 불법 칠게잡이 어구를 방치한 인천 중구청장을 직무유기 혐의로 인천경찰청에 고발하는 강수를 뒀다. 이어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이 해양수산부에 요청해 ‘갯벌 칠게잡이 불법어구 수거 대책’을 수립하자 고발을 자진 취하했다.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은 해양수산부로부터 국비 1억2000만원을 지원받아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영종도 남측과 영종도 북동쪽 갯벌 1503㏊에서 불법 칠게잡이 도구 70.92t을 전면 철거했다. 인천해경도 강력한 단속에 나서 현재 영종도 갯벌에는 불법 칠게잡이 조업이 사실상 사라졌다.

현재도 인천대교기념관 3층 전망대에선 단속 요원들이 망원경을 통해 인천대교 주변의 갯벌에서 불법어구들이 있는지 집중감시하고 있다.

칠게는 남도지방에서 통발어업 때 낚시 미끼로 사용하고, 밑반찬으로도 인기를 끌지만 이제 세계 5대 갯벌인 영종도 남단의 생태계를 복원하는 주인공 역할을 하고 있다. 이 곳은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을 통해 들어오는 외국인들이 우리나라의 자연환경을 처음 접하는 곳이다. 

주민들의 노력으로 영종도 동북측의 갯벌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예단포에는 칠게를 먹잇감으로 삼는 새떼들이 장관을 이루고 있다.

주민들은 “키토산의 재료로 쓰기위해 영종도 갯벌에서 칠게를 싹슬이하는 사람들이 요즘은 거의 사라졌지만 일부에서는 칠게잡이를 허용해달라는 요구도 있어 감시를 게을리 할 수 없다”고 입을 모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135 덕혜옹주 당의ㆍ저고리…日박물관, 문화재청에 기증 file 웹관리자 2015-06-09 10387 2
134 전화번호 하나에 5억? file 석송 2015-09-12 10408 2
133 "내가 엄마 옆에서 잘거야" file 이병호 2015-01-20 10427 2
132 미국에 곧 등장할 가루 알콜: 팔콜(Palcohol) file 석송 2015-03-12 10476 1
131 순천만 월동 흑두루미들 떠나…번식지 찾아 북상 file 석송 2015-04-04 10479 1
130 독도와 서도 사이 바다 위에 초대형 태극기 file [1] 정덕수 2015-01-02 10534 1
129 교차로 카메라 ‘번쩍, 번쩍’ file [1] 웹관리자 2015-06-02 10539 2
128 시인 고은과의 만남 file [3] 김평화 2014-10-13 10566 7
127 박완서 떠난 지 벌써 4년… 문학계, 추모열기 뜨겁다 file 석송 2015-04-26 10652 1
126 점박이물범은 멸종 위기를 벗어날 수 있을까요. 웹관리자 2015-12-28 10667 1
125 밝은미래 중앙신인문학상 시상식 file 웹관리자 2015-07-20 10683 1
124 타계한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마르케스 얼굴 넣기로 file [1] 정순옥 2014-12-17 10688 1
123 실내 겨울 공기오염 실외 10배 제봉주 2015-01-22 10702 1
122 빙하가 무너져 내리는 회수가 가속화 되고 있다. file 석송 2015-04-04 10793 1
121 은하수가 머무는 하늘 file 강정실 2015-07-28 10819 2
120 가수 최백호 file 강정실 2014-11-02 10828 1
» 갯벌 생태계 파수꾼 ‘칠게’가 돌아왔다 file 웹관리자 2015-10-27 10838 1
118 유학 가는 의친왕, 47세 흥선대원군 사진 발견 file 이병호 2015-03-01 10873 2
117 시각장애인들의 위한 기적의 안경 [1] 이숙이 2015-03-01 10878 1
116 백제의 혼이 서린 곳, 성흥산 file 제봉주 2015-04-06 1089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