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돌사회’ 브레이크가 고장났다

조회 수 4612 추천 수 1 2015.11.06 19:32:23

201511062152_14130923309544_1_99_20151106215306.jpg

 


물건을 어디에 뒀는지 잘 잊는다. 매사에 싫증을 자주 느끼고 무기력하다. 지금까지 과제나 일을 한번도 앉은 자리에서 끝낸 적이 없다. 앞뒤를 따져보지도 않고 결과를 예측해 보지도 않고 어떤 일에 충동적으로 뛰어들고 쉽게 결정해 버린다. 결혼 이혼 출산 이직 등 인생의 중요한 결정도 쉽게 하는 편이다….

성인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환자들의 전형적인 증상들이다. 어린이와 청소년의 전유물이라고 생각했던 ADHD가 최근 들어 성인에게도 적잖이 나타나 정신과학자들이 주시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6일 ADHD로 국내 병·의원을 찾아 치료를 받는 20세 이상 성인 환자가 해를 거듭할수록 늘어 2014년 기준 3666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2005년 한 해 동안 치료를 받은 성인 ADHD 환자 수가 175명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무려 20.9배가 늘어난 수치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전체 ADHD 환자 중 20세 이상 성인 ADHD 환자 점유율도 2005년 0.8%에서 7%로 껑충 뛰었다.

성인 ADHD란 어렸을 때 겪은 ADHD가 완치되지 않아 그 증세가 성인이 돼서도 계속 나타나는 경우를 가리킨다. 2014년 기준 국내 ADHD 연령별 진료인원은 20대가 남자 1939명, 여자 636명 등 2575명으로 전체의 70.2%를 차지했다. 이어 △30대 642명 △40대 338명 △50대 69명 △60대 22명 △70대 12명 △80대 이상 8명 순서로 감소했다. 남녀 성비는 2.6대 1로 남자가 배 이상 많았다(표 참조).

그러나 국내 정신과학자들은 이 역시 빙산의 일각이 드러난 것이며 정확한 실태 파악을 위해 역학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201511062152_14130923309544_2_99_20151106215306.jpg

 



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반건호 교수는 “제대로 진단을 받지 않고 ‘난봉꾼’ 또는 ‘고문관’, ‘사회 부적응자’ 소리를 들으며 의료 사각지대에서 방치되고 있는 성인 ADHD 환자가 이보다 적어도 100배 이상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지적했다.

왜냐하면 소아 ADHD 환자 중 50∼65%가 성인이 된 뒤에도 과잉행동 등의 일부 증상만 완화된 채 계속 ADHD 증상을 겪고 있고 그마저도 병원을 제대로 방문하지 않아 대부분 통계에 반영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성인 ADHD 환자는 아이들과 마찬가지로 지나치게 충동적으로 행동해 계획성이 없고 사람들과 어울리지 못하며 주의력 부족으로 업무를 제대로 완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 결혼이나 이혼 같은 인생의 중대사를 결정할 때도 충동적으로 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마디로 성인 ADHD 환자들은 순간순간을 사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직장에서 회의라도 했다 하면 5분이 채 안 돼 딴짓을 하기 일쑤이다. 거짓말을 하거나 반사회적 행동을 하고 주변 사람들과 충돌하는 경우도 적잖다.

난봉꾼이라는 표현에 걸맞게 성적으로도 문란한 경우가 많다. 즉흥적인 데이트는 그나마 양호하다. 안전하지 못한 성관계를 가질 확률도 높다. 계획 없이 아이를 낳고 돌보지 않는 경우도 많고 이혼이나 불륜 역시 각각 2배와 4.6배 높다는 보고가 있다.

변한의원 변기원 원장은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성인 ADHD로 고통을 겪고 있다”며 “만약 ADHD로 인해 사회생활에 어려움이 있다면 뇌를 자극하는 대근육 및 중심근육 운동을 하루 30분씩 꾸준히 해주면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615 '자식보다 낫다' 반려동물 천 만 시대 file [1] 이병호 2014-11-07 11404 1
614 조선’ 관직임명장과 과거시험급제증서, 박물관 품으로 file 웹관리자 2014-11-02 14316 1
613 가수 최백호 file 강정실 2014-11-02 10828 1
612 가수 한대수 file 강정실 2014-11-02 11097 1
611 겨울철 가려움 file 웹관리자 2014-11-01 9652 1
610 영화배우 김희라 file 강정실 2014-11-02 17915 1
609 11월의 제철음식 file 웹관리자 2014-11-01 7661 1
608 핼러윈 데이, 프랑켄슈타인 호박재배 file 정순옥 2014-10-30 10092 1
607 소설책 안 읽어 혼쭐난 문화부 장관 file 웹관리자 2014-10-28 7144 1
606 '안중근 이토암살' 105년 전 LA헤럴드 1면 톱..최초 보도는 AP file 웹관리자 2014-10-25 8576 1
605 알래스카서 60대 곰에 물려 죽어 웹관리자 2014-10-24 11656 1
604 노래의 고향/이별의 부산정거장 file 웹관리자 2014-10-24 11119 1
603 조수미 '징용의 땅' 사할린 첫 무대 file 웹관리자 2014-10-12 8443 1
602 미국 대학에 한국어 책 보내요 file 웹관리자 2014-10-11 10158 1
601 알콜 중독치료제가 '에이즈'를 꼭집게처럼 찾아내 file 웹관리자 2015-11-17 5682 1
600 100년 前 그모습 부활한 대한제국.. 덕수궁 석조전 원형 복원 10월 13일 재개관 file 웹관리자 2014-10-07 13972 1
599 경복궁 취향교 file 웹관리자 2014-10-07 11254 1
» ‘충돌사회’ 브레이크가 고장났다 file 웹관리자 2015-11-06 4612 1
597 욱’ 시도 때도 없이 폭발하는 것도 병! file 웹관리자 2015-11-06 7249 1
596 임동혁의 쇼팽 vs 조성진의 쇼팽 file 웹관리자 2015-11-04 774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