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선 대원군의 환갑 얼굴

조회 수 5744 추천 수 2 2015.12.26 14:33:22



 흥선 대원군의 환갑 얼굴

 

 

201512171742_11170923361783_1.jpg

 


 

-이하응의 61세 초상(부분).

 국립고궁박물관 제공

 

 

 


   
 강단 있던 흥선 대원군(1820∼1898)의 얼굴이 또렷하다. 안동 김씨 60년 세도정치를 단숨에 무너뜨린 결기 있는 얼굴이 경복궁에 돌아왔다. 대원군은 둘째 아들을 왕위로 올리고 섭정이 되어 10년간 왕권을 휘둘렀다. 임란 때 불타버린 경복궁도 270여년 만에 중건했으나많은 궁궐 전각이 뜯겨나가고 그 자리에 일본의 총독부가 들어섰다. 지금 복원 역사가 한창인 경복궁에 대원군이 돌아온 셈이다.
 
이 초상화는 당대 최고의 궁중화가 이한철과 이한옥이 그렸다. 흰점이 그려진 흑건을 쓰고 짙은 청색포를 입었다. 화려하고 선명한 채색과 정교하고 치밀한 묘사가 돋보인다. 권좌에서 밀려난 1880년 얼굴이라서 무표정하고 딱딱한 모습이 실감난다.

 

대원군도 마음에 들었던 그림인 것 같다. 오른쪽에 친필로 ‘내 나이 61세 환갑 모습’이라고 쓰고 화가와 표구한 사람까지 기록했다. 조선 왕실의 격조 있던 초상화 문화를 알 수 있다. 운현궁에서 전해오던 이 초상화는 서울역사박물관에 기증됐고, 문화재청은 2006년 보물로 지정했다. 국립고궁박물관이 내년 2월 14일까지 여는 ‘조선 왕실의 어진과 진전’ 특별전에 나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114 문체 웹관리자 2014-09-21 7965  
113 우리말, -건대, 그리고 '대'와 '데' 강정실 2015-03-21 4614  
112 논틀밭틀길, 고샅, 고샅길, 고샅고샅, 숫눈길, 샅 웹담당관리자 2024-01-14 76  
111 젯밥과 잿밥 file 웹담당관리자 2024-02-06 73  
110 바람의 종류 웹관리자 2014-09-21 13407 1
109 아름다운 우리말, 비의 종류 웹관리자 2014-09-21 8032 1
108 띄어쓰기 웹관리자 2014-09-21 6645 1
107 붴, 거시기, 시방… 우린 참말로 표준어다! 웹관리자 2014-10-24 4497 1
106 덕수궁 그리고 돌담길..132년 만에 '완주' 가능 강정실 2016-02-03 9226 1
105 높임말의 올바른 사용법 강정실 2015-03-21 10668 1
104 우리말, 알아도 틀리게 쓰는 말 '바라/바래' 강정실 2015-03-21 5502 1
103 우리말, '뭐'/'머', 구어적 표현이 표준어가 된 사례 강정실 2015-03-21 7398 1
102 우리말, 아라비아 숫자를 읽고 쓰는 법 강정실 2015-03-21 11395 1
101 우리말, '나아(낫다)'와 '낳아(낳다)' 강정실 2015-03-21 21361 1
100 우리말, "취직하려면… 입문계가 좋아요? 시럽계가 좋아요?" 강정실 2015-03-21 3511 1
99 우리말, '내거'와 '내꺼' 강정실 2015-03-21 9451 1
98 우리말, 사귀다/피우다… 애매한 소리 '우' 강정실 2015-03-21 8987 1
97 국립국어원 발표 2047신어의 경향 file 강정실 2015-03-28 3725 1
96 다르다와 틀리다와의 차이점 file 웹관리자 2015-05-10 5765 1
95 황태자 영친왕의 정혼녀 file 웹관리자 2015-05-19 338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