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대보름에 개를 굶긴 이유

조회 수 4908 추천 수 1 2016.02.23 17:46:38

 

2016022215553946423_2.jpg

 

 

 

정월대보름엔 개를 굶겼다는데, 왜죠?

음력 1월15일은 정월대보름입니다.

정월은 음력으로 한 해의 첫째 달, 즉 1월을 뜻하고 보름은 보름달이 뜨는 15일을 의미합니다.

음력 설이 지나고 뜨는 첫 보름달이라 더욱 의미가 있는 날인거죠.

부럼을 깨먹고 한 해 풍년을 기원하며 보름달에 소원을 빌었던 정월대보름. 이날과 관련한 여러 재미난 속담들이 있다고 합니다.

정월대보름엔 개에게 먹이를 주면 여름에 파리가 꾀고 개가 여윈다는 속설 때문에 이날은 개를 굶긴다는 풍속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나온 속담은 '개 보름 쇠듯 한다'입니다. 즐거워야 할 명절이나 잘 먹고 지내야 할 날에 제대로 먹지도 못하고 무의미하게 지낸다 뜻을 가진 속담인데요.

 

2016022215553946423_4.jpg

 


 

진짜 개를 굶긴 이유는 개가 달을 잡아 먹는다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민속학자들에 의하면, 옛날 사람들은 달과 개는 상극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달의 기운이 충만해지는 정월대보름에는 여자들이 음의 기운을 받아야 하는데 이날 개가 음식을 먹으면 힘이 펄펄 나서 달을 먹을 것이기 때문에 개를 굶겼다고 합니다.

'설은 나가서 쇠어도 보름은 집에서 쇠어야 한다'는 속담 들어보셨나요?

객지에 나간 사람은 설엔 부득이 집에 오지 못하더라도 보름엔 꼭 돌아와야 한다는 뜻의 속담입니다.

설에는 사정이 있어 집에 못 갔지만 보름(15일)정도 여유를 가지면 그 사정을 다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이날에도 집에 돌아가지 않으면 예(禮)를 다하지 못한 사람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특히 정월대보름은 일년 중 농사 풍년을 소망하고 준비하는 중요한 시기로 보름이 지나면 본격적으로 농사짓기가 시작됩니다. 보름까진 집에 가서 생계와 생존을 해결할 농사짓기에 동참해야 한다는 것이죠.

보름인데도 여전히 집에 돌아가지 않고 있으면 '철을 모르는 사람이요, 철이 없는 사람이요, 농사와 단절한 사람'이라고 해서 욕을 먹었다고 합니다. 여기서 철은 '농사철'을 의미합니다. 욕을 먹는 사람은 공동체에서 따돌림 받기도 쉬웠답니다.

이 밖에도 '설은 질어야 좋고 보름은 밝아야 좋다(설은 눈이 많이 와야 좋고 대보름은 환한 달이 떠야 풍년이 들어서 좋다)', '보름에 풀밥할 놈이 나왔다(팥의 수확이 여의치 못할 때 불만스럽다)'는 속담도 있습니다.

유난히 농사와 관련된 속담이 많은 것은 정월대보름 이후 본격적인 한 해 농사가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오늘 보름달은 오후 5시55분에 뜨기 시작해서 23일 0시38분에 가장 높이 뜬다고 합니다.

비나 눈이 예보 돼 달을 보기 어려울 것이라곤 하지만 달을 보며 소원을 빌어보는 것은 어떨까요. 즐거운 정월대보름 보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2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695 ***건강 상식 알아둡시다*** 박은경 2021-04-10 2446  
694 뇌혈관이 연기처럼 모락모락… '모야모야병' 의심 증상은? 오애숙 2017-12-14 2476  
693 입춘의 날씨 [1] 웹담당관리자 2018-02-03 2489  
692 참새의 진화 file 홍용희 2017-09-21 2496 1
691 '생강' 냉장고에 오래 보관하는 꿀팁 오애숙 2017-12-07 2543  
690 문예지 발간 지원 사업, 지원금 9억 4천만 원 51개 문예지 지원 file [1] 웹담당관리자 2018-04-11 2566 1
689 해왕성에 다이아몬드 비 내린다 file 홍용희 2017-08-22 2591 2
688 무릉도원 [3] 유진왕 2021-05-25 2592  
687 네잎 클로버의 행운 file 웹담당관리자 2018-01-11 2596  
686 내가 만난 명문장 / 김별아 홍용희 2017-11-05 2643 1
685 [시조] 보리순 박은경 2020-04-21 2683 1
684 [영한 행시] New Year's came /설은 왔는데,,, 박은경 2022-01-02 2685  
683 미국 (LA)에서 일어난 장(의사) 사건 file [3] 서용덕 2017-07-14 2712 8
682 국립제주박물관 상설전시실 조선실서 전시 file 홍용희 2017-06-15 2717 1
681 서머타임 시작 file 홍용희 2017-03-11 2724 3
680 부활의 의미 [4] 오애숙 2018-03-30 2735  
679 [시조] 보리 서리 박은경 2020-04-21 2738 1
678 나비가 급격하게 사라진다---15년새 34%감소 file [1] 웹관리자 2017-03-19 2800 1
677 시인의 사계 석송 2017-02-09 2817  
676 [연시조] 코로나가 떠난 세상 박은경 2020-07-19 283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