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20.03.26 18:14 | 수정 2020.03.26 18:15

바이러스 확산 미국 실업자 역대 최다 증가

금융위기보다 더 빠르게 많이 일자리 사라져

위험군 4500만명..."실업률 30%" 전망도

 

 

대공황·금융위기보다도 코로나 바이러스가 순식간에 더 많은 일자리를 빼앗아가고 있다는 통계가 속속 발표되고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으로 미국 경제활동이 본격적으로 멈춰선 3월 셋째주 미국의 신규 실업자는 역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캘리포니아주() 개빈 뉴섬 주지사는 25지난 13일 이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100만건에 달했다는 보고를 받았다라고 말했다. 38~14일 미국 전체의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약 28만건이다는 점을 감안하면, 캘리포니아에서만 한주 사이 미 전체의 약 3배에 달하는 새 실업자가 쏟아졌다는 뜻이다. 미 노동부는 25일 오전(현지 시각) 미국 전체의 실업자 통계를 발표한다.

 

 

2020032605518_0.jpg

 

 -미국 실업자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가운데 뉴욕 맨해튼 무료 급식소 앞에 줄 서 있는 사람들

 

  미국에 가장 많은 실업자가 발생한 때는 1970년대 오일쇼크로부터 시작된 불황이 최고조에 달한 19829월의 671000건이었다. 2008년 극심한 경기 침체를 겪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 기록된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도 665000명 선이었다. 캘리포니아 한 주에서만 100만에 달하는 신규 실업수당 건수가 나왔다는 것은 코로나발() 충격이 경제에 얼마나 큰 충격을 가하고 있는지를 선명하게 보여준다.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바로 그 시점에 일자리를 잃은 사람이 얼마나 되는지를 가장 민감하게 알려주는 지표다. 블룸버그는 코로나 충격으로 인한 경제 충격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보여주는 첫 실물 지표가 나온 셈이다. 프리랜서 등 실업수당 청구 대상이 아닌 사람들까지 포함하면 코로나로 인한 고용 충격은 천문학적 수준일 것이라고 전했다.

 

미국의 실업 쇼크는 강제적 자택 격리 등 특단의 조치를 취하는 주 정부가 늘어나면서 발생했다. 뉴욕·캘리포니아 등 경제 활동이 활발해 사람이 많이 모이는 주부터 셧다운명령이 내려졌다. 식당·극장·슈퍼마켓·여행 그 무엇도 영업을 할 수 없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한 것이다. 이런 산업의 종사자들은 순식간에 일자리를 잃었다. 식당 온라인 예약 서비스 오픈테이블에 따르면 3월 둘째주 미국의 식당 예약은 제로였다. 미국 슈미트 선물 마서 김벌 이코노미스트는 블룸버그에 실업자 증가의 속도와 규모를 보고 있다 보면 현기증이 난다. 한마디로 믿을 수 없는 실업자 숫자가 보이고 있다라고 말했다.

 

2020032605518_1.jpg

 

-한때 발 디딜틈 없던 뉴욕 타임스스퀘어가 22일 텅 비어 있는 모습. 극장, 식당, 공연장 등이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을 위해 문을 닫으면서 미국 실업자는 사상 최대 수준으로 늘어나고 있다.

 

  역대급 실업이 3월 셋째주 한 주로 그칠 가능성은 적다. 미국의 코로나 바이러스 확진자가 25일로 65000명을 넘어서는 등 바이러스 확산이 잦아들 기미가 아직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실업자가 급증하고 경제가 걷잡을 수 없이 식어가자 부활절(412)까지는 경제 활동 재개를 희망한다고 25일 밝혔다. ‘무슨 놈의 치료법이 병 그 자체보다 더 큰 해악을 끼치는가라는 그의 최근 트윗은 경제 활동 중단만이 바이러스 확산을 막는다는 모순된 현실에 대한 답답함을 드러낸다. 트럼프의 바람과 달리 미국의 코로나 방역을 이끄는 앤서니 파우치 국립 알레르기 감염병연구소 소장은 감염자 수가 늘고 있는 지역에서 지침을 완화할 수 없다고 밝혀 경제 올스톱이 당분간 이어지리라고 했다. 앞으로 상당 기간, 실업자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다.

 

신규 실업자 증가에 이은 수순은 가파른 실업률 상승이다. 이미 눈을 의심케 하는 전망이 나온다. 미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제임스 불라드 총재는 지금 같은 상황이 지속되면 실업률이 30%까지 올라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코로나로 직격탄을 맞는, 재택 근무가 불가능한 서비스업 종사자는 약 4600만명이다. 코로나가 더 장기화하면 이들이 모두 일자리를 잃을 위험이 있다고 불라드 총재는 경고했다.

 

미국의 3월 셋째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발표된 26일 미 의회는 22000억달러에 달하는 사상 최대 규모의 코로나 경기부양책을 통과시켰다. 이 부양책엔 실업수당 보조금을 2600억달러 더 지원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전일 이틀 연속 미 증시가 상승한 백투백 랠리와 미 경기부양책 통과라는 호재가 있었지만 실업자 폭증에 대한 불안이 확산하며 이날 한국 코스피와 일본 닛케이는 각각 1.1%, 4.5%씩 하락했다. 유럽 증시도 이날 오전 약 3%씩 급락해 거래를 시작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2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715 밤낚시/행시조 박은경 2021-09-04 147  
714 삶이 너무 아깝다 [5] 유진왕 2021-05-26 147  
713 낙엽시리즈 8-비 맞은 낙엽 file 박은경 2020-11-30 147 1
712 남편의 잠자리 [4] 권온자 2020-08-15 147 2
711 개설매 file [1] 강정실 2020-08-06 147 2
710 삼 생[三 生]의 삶을 위하여/자유시 박은경 2020-03-03 147 1
709 [단시조] 닥터 피쉬 박은경 2021-12-18 146  
708 [시]-------연시조 : 당신은 모르실 거야 [1] 오애숙 2021-11-09 146  
707 [시]----이 가을, 그대 향한 고백/은파-----[ SH ] [1] 오애숙 2021-11-07 146  
706 [연시조] 여수 동백꽃 여행 박은경 2021-03-04 146 1
705 나의 바램 [2] 박은경 2021-01-26 146 1
704 빨간 장갑 file 박은경 2020-12-23 146 1
703 12월의 풍경 박은경 2020-12-16 146 1
702 디카시/ [단시조] 힘 file 박은경 2020-11-07 146 2
701 [연시조] 오, 자네 왔능가 박은경 2020-09-19 146 1
700 [연시조] 백련지(白蓮池) file 박은경 2020-08-05 146 1
699 [시조] 고독한 밤 2 박은경 2020-06-16 146  
698 연시조/ 세족식 박은경 2021-12-16 145 1
697 [시]----인생고락간 사유(만추 풍광속의 사유) -- [SH] [1] 오애숙 2021-11-08 145  
696 [연시조] 아픈 기억 박은경 2021-10-17 14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