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서 41년 만에 발견된 멸종위기종

조회 수 13978 추천 수 3 2015.02.12 14:35:10

국내서 41년 만에 발견된 멸종위기종

 

sbsi_20150212223009139.jpeg

 

11일 경남 남해군 미조리 앞바다 홍합 양식장에서 부이 줄에 걸려 발견된 멸종위기종인 긴수염고래가 분수공으로 물을 내뿜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 제공

경남 남해의 홍합 양식장에 걸려 목숨이 위태롭던 북태평양 긴수염고래(Wright Whale)가 무사히 탈출해 사라졌다. 긴수염고래는 우리나라 연안에선 41년 만에 발견된 멸종위기종인 희귀 고래다.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와 통영해양경비안전서는 12일 오전 7시쯤 현장을 확인한 결과 긴수염고래가 흔적도 없이 사라져 이날 오전 9시를 기해 구조작업을 종료했다고 밝혔다.

 

sbsi_20150212223008902.jpeg


긴수염고래는 11일 남해군 미조면 앞바다 홍합 양식장 부이 줄에 엉켜 움직이지 못한 채로 발견됐다. 구조신고를 접수한 고래연구소는 즉각 씨 라이프 부산아쿠아리움과 함께 합동구조반을 출동시켰다. 고래가 양식장 한가운데에서 발견돼 선박의 접근이 어려운데다, 고래 꼬리부분이 부이 줄 4개에 촘촘하게 엮여있고 길이 12m가 넘는 덩치의 고래가 계속 발버둥을 쳐 구조에 애를 먹었다.

구조반은 가까스로 줄 3개는 끊었지만 날이 저물면서 나머지 줄 1개를 남겨둔 채 구조작업을 중단해야 했다. 일각에선 고래가 부상과 탈진 등으로 밤을 무사히 넘기지 못할 것이란 우려도 제기됐다.

다음날 날이 밝자 구조반은 곧장 구조작업을 재개하기 위해 현장을 찾았지만 고래는 감쪽같이 사라지고 없었다. 사고 지점 주변의 그물이나 양식장 줄 등에 걸린 것은 아닌가 추가 수색을 벌였지만 끝내 고래는 발견되지 않았다.

고래연구소는 긴수염고래가 대한해협을 통해 동해를 따라 오호츠크해로 돌아갔거나 일본 주변 해역을 지나 태평양으로 향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긴수염고래는 지구 상에 남아있는 개체 수가 300마리 이하인 대표적 멸종위기종으로 이번 국내에서 발견된 건 1974년 동해에서 잡히고 난 후 41년 만이다. 몸길이가 17∼18m, 무게 50∼80톤까지 자라며 수명은 60∼70년 가량의 대형 고래에 속한다.

고래전문가들은 “희귀종의 긴수염고래가 우리 해역을 찾은 것은 기적 같은 일이며, 양식장에 걸려 목숨을 잃을 뻔하다 무사히 탈출한 것도 정말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입을 모았다.

 

sbsi_20150212223009338.jpeg


고래연구소측은 “긴수염고래 같은 대형 고래는 오호츠크해를 통해 내려와 동해를 지나 태평양으로 이동하는데 이번 고래는 남해까지 찾아왔다”며 “11일 채취한 긴수염고래 표피 등을 분석해 유전정보 등을 확인하고, 이동경로와 현장의 수중 생태를 파악하기 위해 플랑크톤을 수집하는 등 조사를 진행 중이다”고 밝혔다.

 


 


이금자

2015.02.14 18:20:24
*.56.31.244

멋진 뉴스 감사합니다.

여긴 엄청 눈이 옵니다.

영어도 할 줄 모르고 한국 뉴스와 책 읽기로

폭설 세상을 피해가고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135 비에 젖은 낙엽과 삼식이 file [4] 정순옥 2021-12-19 230 2
134 [행시] 겨울여자 [2] 박은경 2021-12-24 175 2
133 건강한 신체 [2] 박은경 2022-01-17 188 2
132 한글에 왜 띄어쓰기가 있습니까? file [1] 웹담당관리자 2022-02-27 5492 2
131 빈손 file 정순옥 2022-09-28 189 2
130 이스터섬 거대 석상의 비밀, 로봇으로 풀었다 file [1] 배원주 2022-03-09 353 2
129 도시의 가을 [3] 이금자 2022-03-18 213 2
128 영정사진 file 강정실 2022-09-28 587 2
127 술에 열심이었던 헤밍웨이, 벼락같이 그가 이해됐다 file 배원주 2022-04-15 186 2
126 집이란 내겐 file 유진왕 2022-06-03 180 2
125 위하여 정순옥 2023-10-25 218 2
124 소녀의 눈물 file 정순옥 2023-11-22 132 2
123 밤 비(이금자 시인) file [1] 웹담당관리자 2023-12-31 376 2
122 오코이강에서 최고의 래프팅 file 웹담당관리자 2024-03-08 176 2
121 특별한 만남 file [1] 정순옥 2024-03-08 239 2
120 회원님들께 인사 올립니다 file 홍마가 2024-04-02 186 2
119 파도 file 이병호 2024-04-28 136 2
» 국내서 41년 만에 발견된 멸종위기종 file [1] 엄경춘 2015-02-12 13978 3
117 문성록 부회장 방문(Cresco, PA) file [5] 웹담당관리자 2018-09-18 1927 3
116 개설매 file [2] 강정실 2020-09-12 20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