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직업은 안전하십니까

조회 수 1931 추천 수 1 2017.09.13 06:21:06


[책을 읽읍시다] 당신의 직업은 10년 뒤에도 살아 남을까요 
기사입력 2017-09-13 19:51 파이낸셜뉴스
 
                                     직업의 종말 테일러 피어슨 / 부키


 

직업의 종말 책0003874109_001_20170913195152548.jpg



전문직 신화가 종말을 고하는 시대, 10년 후 우리는 무엇을 하고 있을까. 한 때 자격증이 많으면 직업전선에서 유리한 때가 있었다. 아직도 사람들은 지식을 늘리는 일에 투자하고 학위를 비롯한 갖가지 자격 조건을 얻기 위해 애쓰지만, 자격에 뒤따르는 보상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직업의 시대가 종말을 맞이하고 있다고 단언한다. 최근 교사 임용 대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전문직의 현실은 녹록치 않다. 비단 교사라는 특정 직종에만 해당되는 게 아니다. 어느 전문직에서든 막대한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는 대신 미래의 과실을 기대할 수 있었던 옛 영광은 이제 더 이상 찾아볼 수 없게 됐다.


10년 전만에도 한 직업을 가지면, 10년 후 내가 무엇을 하고 있을지 계획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앞으로의 미래는 그렇지 않다. 오스트레일리아의 학자들은 현재의 초등학생들이 본격적으로 직업을 갖게 되는 10~15년 후 개인당 30~40개의 직업에 종사하게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만약 이 예측이 사실이라면 거의 1년에 한 번 직업을 바꿔야 한다는 얘기가 된다.


2016년 다보스포럼에서는 지금 우리가 당연하게 생각하는 직업이 20년 뒤에는 대부분 사라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즉 10년 후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을지 전혀 예측할 수 없는 시대를 살아가면서, 직업 경력을 계획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다고 저자는 말한다.

그렇다면 우리의 안정된 미래를 위해 어떤 일을 해야 할까. 저자는 자신만의 능력과 기술을 발전시키고 이를 통해 가치 있는 기회를 잡는데 초점을 맞추라고 조언한다.


이는 결국 창업가 정신과도 맞물린다. 무의미한 학위를 따고, 그저 직장을 다니며 점차 승진하고 연봉이 오르기를 기대하는 데 시간과 비용을 들이는 것보다, 창업가정신을 구축하고 발휘하는데 투자하는 게 미래의 일자리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이 저자의 생각이다.


창업가 정신을 구축하고 발휘한다는 의미는 무엇일까. 저자는 창업을 위한 노하우와 인맥을 발전시키는 것을 꼽는다. 비록 지금은 어느 기업에 고용되어 있더라도 미래의 자신만의 비즈니스를 창출하겠다는 목표 아래 한 걸음 한 걸음 준비해나가는 것이 창업가 정신이라고 말이다. 결국 일의 미래는 스스로 써 나가야 한다. 존재하지도 않는 '안정적인 직업'을 찾아 헤매느냐, 자기 자신만의 비즈니스를 구축해 나가느냐에 따라 10년 후의 미래가 달라질 것이라는 것이 저자의 충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2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675 한국 사는 시민권자도 배심원 출두하라 홍용희 2017-09-13 1720 1
» 당신의 직업은 안전하십니까 file 홍용희 2017-09-13 1931 1
673 서울대병원 동물실험정보 공개 판결 file 홍용희 2017-09-12 1762  
672 드론, 꿀벌이 되다 홍용희 2017-09-11 1396  
671 中 졸렬한 사드 보복 홍용희 2017-09-10 1379  
670 미 시민권자 한국여권 사용 문제 홍용희 2017-09-09 1281  
669 중국 관영 매체 환구시보의 사설 문제 홍용희 2017-09-09 1093 1
668 태양 10년 만에 초대형 폭발... file 홍용희 2017-09-07 1558  
667 나토 " 국제 사회, 핵포기하도록 북한 더 압박해야" file 홍용희 2017-09-06 1448  
666 마광수 교수 타계 file 홍용희 2017-09-05 1799 1
665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 '북 원유제재' 놓고 격론 홍용희 2017-09-04 1402  
664 국내 남자 작가 '남자들의 세계사에 함몰' file 홍용희 2017-09-03 1471  
663 ' 자율차로 달라진 풍경' file 홍용희 2017-09-02 1431  
662 문인은 마음을 비워야/ 김영중 수필가 [1] 이정아 2017-08-28 1915 1
661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선고공판 file 홍용희 2017-08-25 1895 1
660 이용자와 대화가 가능한 ‘네이버’가 나온다. file 홍용희 2017-08-24 6995 1
659 박경리문학상 최종 후보자 / 코맥 매카시 file [1] 홍용희 2017-08-23 2287 1
658 해왕성에 다이아몬드 비 내린다 file 홍용희 2017-08-22 2591 2
657 세균덩어리와 동거 중은 아니신지요? file 홍용희 2017-08-22 1276 1
656 99년만의 개기일식 눈앞 file 홍용희 2017-08-20 294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