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만난 명문장 / 김별아

조회 수 2631 추천 수 1 2017.11.05 09:45:53


                                                  [내가 만난 名문장]   아는 것은 오직 ‘알 수 없다’뿐… 
                                                기사입력 2017-11-04 03:04 | 최종수정 2017-11-04 04:48 기사원문 동아일보
 


                                                                                                                                                                     김별아 소설가


《“여보게, 모든 이론은 회색이고, 영원한 것은 저 푸른 생명의 나무뿐이라네.”

―괴테, ‘파우스트’》
 

조금은 얄궂게도 주인공 파우스트가 아니라 악마 메피스토펠레스의 입을 빌려 나온 이 말은, 한 시대 젊은 영혼들에게 영향을 미쳤던 헤겔과 레닌에게 복창되어 내 기억에 새겨졌다. 작가인 동시에 자연과학자로서 색상환을 만들어내기도 했던 괴테의 색채에 대한 특별한 관심을 상기하면, ‘이론은 모조리 회색이고, 생명의 황금나무는 초록색’이라는 번역이 한층 선명할 수 있겠다. 회색과 초록과 황금빛의 감성이 내포한 상징은 명료하다. 회색은 헤겔의 말대로 아무리 덧칠해봤자 초록으로 되살아날 수 없는 반(反)생명이며, 황금의 보배로움과 소중함을 지닌 것은 오직 살아 있는 초록의 생명일지라.


기억 저편에 묻혀 있던 말이 시시때때로, 요즘 들어 더욱 빈번히 떠오른다. ‘별이 빛나는 창공’을 바라보며 길을 찾던 시대는 지나갔다. 필요하기는 하거니와 불필요하게도 밀려드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악머구리 끓는 목소리에 홀려 길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자기만의 지도를 만들어야 한다. 함부로 함께 가자고 손을 내밀 수 없다. 누구도 쉽게 따라갈 수 없다. 회색의 것들에 대한 의심과 더불어 니체의 말대로 ‘신념은 감옥’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아는 것이 병이 되고 모르는 것조차 약이 되지 않아, ‘온몸으로 온몸을’ 밀어 가는 일이 그다지도 외로움을 걸음걸음마다 느낀다.

 

번쩍이는 황금의 울울창창한 초록은 어떠한가. 사춘기에 들어선 아이와 함께 마흔의 고비에서 종주한 백두대간에서 만났던 생명 혹은 생령들을 떠올린다. 2년 꼬박 2주에 한 번씩 떠난 길이었음에도 새벽녘 검은 산 앞에 설 때마다 설렘과 두려움이 반반이었다. 치밀한 예측에도 예외는 발생했다. 땡볕이거나 비바람이거나 눈보라가 어김없이 길을 막았다. 숨 가쁜 오르막의 끝에는 매양 새로운 풍경이 펼쳐지고 가파른 내리막이 이어졌다. 그토록 선명한 영원은 냉엄한 채로 다사롭고, 무질서한 채로 질서정연했다. 살아 있기에 변화무쌍했다. 죽지 않았기에 고이거나 머무르지 않았다. 다만 그 길을 따라가는 작은 인간인 내가 무릎과 발목을 바쳐 깨달은 것은 오로지 ‘알 수 없다’는 사실뿐이었다. 모르기에 순연히 복종하며 닥치는 대로 겪을 뿐이다. 누구도 대신 오르내릴 수 없는 산이요 삶이기에 그곳의 나무도 낙엽송이든 침엽수이든 제각각 푸르다.


바야흐로 세상은 시쳇말마따나 ‘혼돈의 카오스’다. 멀리의 적을 향하던 전선(戰線)은 일상으로 바투 내려왔고 진실의 각개전투가 곳곳에서 벌어진다. 우우우 너울처럼 몰려갔다가 된통 기습당해 퇴각하길 반복한다. 무엇을 무기로 삼아 나를 지키고 고지를 탈환할 것인가? 피아 식별조차 어려워진 혼돈의 시대에 나는 아무것도 믿지 않기로 한다. 독실한 불신자로서 홀로 걷고자 한다. 뚜벅뚜벅 걷는 길 위에서 펄펄 살아 있는 현실과 현실을 사는 사람과 삶 그 자체를 만나, 그 앞에 더 낮고 가만해질지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5042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7507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491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5043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1627 5
714 명작의 공간/ 김동인 홍용희 2017-11-16 1893  
713 동리목월문학상 발표 홍용희 2017-11-15 1608 1
712 별빛의 메아리 홍용희 2017-11-14 1677  
711 가을 뜻 / 황수정 file 홍용희 2017-11-09 2135  
» 내가 만난 명문장 / 김별아 홍용희 2017-11-05 2631 1
709 시계, 한 시간 뒤로 돌리세요 file 홍용희 2017-11-04 1470  
708 안도현 시인 file 홍용희 2017-11-04 2198  
707 배우 송송 커풀 결혼식 올리다 file 홍용희 2017-11-02 1391  
706 창작하는 AI... 예술가가 함께 꿈꾸는 미래 file 홍용희 2017-11-01 2070  
705 즐거운 할로윈데이 하세요 file 홍용희 2017-10-31 1797  
704 서머타임 해제 (Daylight Saving Time Ends) file 홍용희 2017-10-28 12967  
703 한미문단 문학상, 중앙일보 기사 file 홍용희 2017-10-27 2057  
702 한국인 10명 중 6명, "인공지능으로부터 일자리 위협 느낀다" file 홍용희 2017-10-25 1578  
701 비둘기 유해 동물 지정 file 홍용희 2017-10-24 4665  
700 음식 테마로 스토리 델링하는 사진작가 file 홍용희 2017-10-23 2141  
699 한자, 세상을 말하다 file 홍용희 2017-10-21 3738 1
698 목줄 안 한 개에 물린 사망 사고 홍용희 2017-10-20 1610 2
697 인공지능 신기원에 돌입 file 홍용희 2017-10-19 1704 2
696 달 지하에서 동굴 발견 file 홍용희 2017-10-18 1657 2
695 휴대폰 값 - 무엇이 고급, 중급 저가폰의 차이를 만드는가 file 홍용희 2017-10-04 223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