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6112111202.jpg

 

                                                                           ↑ 윤동주 <쉽게 쓰여진 시> 육필원고 원본

 

 

한국시 독자의 시선(視線)이 근대로 뻗어나가고 있다.
20세기 초반 출간된 시집 복각본 인기가 최근 불어닥쳤던 서점가는 영화 ‘동주’ 개봉에 힘입어 윤동주 시인을 둘러싼 열기로 이어지더니, 때마침 1930년대 활동했던 서정주 시인의 자서전까지 매대에 등장하며 근대시(詩) 조명은 하나의 트랜드로 굳어졌다. 여기에 김소월과 백석 시인의 시집 복각본도 가세해 ‘근대 한국시 열풍’을 견인 중이다.
윤동주(1917~1945) 시인이 1941년 쓴 5연 14행의 시 ‘십자가’에서 김응교 숙명여대 교수는 10번째 행에 주목했다. 단 두 글자인 그 행은, 김 교수의 새 평론집 제목과 같은 ‘처럼’(문학동네 펴냄)으로, 한국인이 가장 추앙하는 윤동주의 생애를 다섯 시기로 나눠 시를 두고 담소 나누듯 읽기 쉽게 풀었다.
“괴로웠던 사나이,/행복한 예수·그리스도에게/처럼/십자가가 허락된다면”(‘십자가’ 부분) 윤동주 시인은 예수 행적을 좇는 희생적 삶을 숭고하게 지향한다. 김응교 교수는 “윤동주 시에 나타나는 ‘처럼’, ‘같이’라는 직유법은 타자와의 차이를 인식하면서 동시에 동일화하려는 의지”라고 썼다.
 윤동주 시인이 태어난 명동마을을 거쳐 숭실·광명학원 시절을 지나 연희전문학교 재학 중 시인의 심리적 두 시기, 일본 릿쿄·도시샤대 유학기간 등을 추적하다보면 27세에 요절하기까지 윤동주 시인이 남긴 ‘자화상’, ‘서시’, ‘별 헤는 밤’, ‘참회록’ 등의 뒷얘기를 접할 수 있다.
특히 윤동주 시인의 ‘별 헤는 밤’에 김 교수는 상당 부분을 할애했다. ‘어머님’에게 편지 형식으로 쓴 시의 5연이 왜 산문 형식인지를 두고, 저자는 “경성에 와서 거꾸로 고향 만주를 그리워하는, 디아스포라의 어린 시절을 담고 있는 시”라며 “그때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도저히 짧은 행간이나 암시적 기법으로 담아낼 수 없었 이야기로 풀어낸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미당 서정주(1915~2000)의 자서전도 반갑기는 매한가지다. ‘유년기 자서전’과 ‘문학적 자서전’(은행나무 펴냄)은 미당 생전인 1968~1974년께 쓰여졌다가 40년이 지나 책으로 묶였다. 미당의 기억은 193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자서전 곳곳에 해학과 반성의 문장이 절절하게 녹아 산문임에도 시를 읽는 기분이다.
 1933년 가을, 열아홉살의 미당이 쓰레기통 옆에서 무거운 넝마주이 바구니를 내려놓고 담배를 피우는 장면에서 그의 기억이 출발한다. 미당은 자신을 “심란스런 문학청년”이라거나 “막다른 길에 든 한국 사람의 한 상징” 또는 “망국의 한 문학청년”이라고 표현하며 그 시절을 회상한다.
미당은 첫 시집인 ‘화사집’의 표제작인 ‘화사(花蛇·꽃뱀)’의 뒷담화도 풀어낸다. “숙맥”이었던 미당은 “서구 귀부인풍의 사치한 옷차림과 그 비단옷처럼 사치스런 살결”을 가진 한 여류 화가를 보고 시를 남겼음을 고백한다. “사향 박하의 뒤안길이다”로 시작하는 미당 시의 절정 ‘화사’는 모델은 실재했다.
미당은 친일 논란도 애써 감추지 않았다. “나는 여기 인제 내 생애에서 가장 창피한 이야기들을 한바탕 벌여놓아야 할 마련이 되었다”로 시작하는 그의 글은 1944년 9월께부터 이듬해 봄까지의 “친일적 업적 또는 전범 여부”를 고백한다. 서정주 시인은 ‘항공일에’란 제목의 친일시를 썼던 기억을 더듬으며, 일본어 잡지 ‘국민문학’과 ‘국민시가’에 참여했던 행적도 털어놓는다. 미당은 “정치 세계에 대한 부족한 지식이 내 그릇된 인식을 만들었다”고 썼다.
 근대시인에 대한 관심은 사실 어제 오늘이 아니다. 김소월(1902~1934) 시인의 ‘진달래꽃’은 1925년본 초판본이 91년 만인 지난해 복간돼 서점가에 등장하자 4만부 이상 팔려나가며 인기 주역이 됐

 


 다. 백석(1912~1996) 시인의 시집 ‘사슴’은 이번달 29일 출간될 예정임에도 예약판매 부수가 첫날에만 2500부를 돌파했고 현재 1만부를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한 문학평론가는 “한국문학이 위기라고 해도 한국시에 대한 갈증이 이처럼 높았음을 증명하는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저작권법 웹관리자 2014-09-27 3482 4
43 시인 이상과 화가 김환기의 아내 웹담당관리자 2023-12-03 268 1
42 “안중근 모친의 ‘편지’는 일본인 승려의 조작이었다.” file 강정실 2023-02-24 1241 1
41 친일작가 문학상 논란 재점화 file 웹관리자 2016-11-25 2969 1
40 김민정 시인 "일상의 아름다움…처음 쓰게 됐죠" file 웹관리자 2016-07-03 3571 1
39 "이육사의 詩 '靑포도'는 청포도 아닌 덜 익은 '풋포도'" file 웹관리자 2016-03-15 4284 1
» 윤동주 열품에 서정주.김소월.백석도---- 서점가 신풍경 file 웹관리자 2016-02-23 7339 1
37 윤동주 시인의 시세계 웹관리자 2016-02-16 8115 1
36 황석영 "젊은 작가 작품에 '철학' 안 보여…문예창작학과 때문" file 웹관리자 2015-09-10 2661 1
35 윤봉길 의사 도시락 폭탄, 우리 작은 할아버지 작품이예요. file 웹관리자 2015-08-14 7413 1
34 이순신의 전황보고서 '장계별책'은 국보급 file 웹관리자 2015-08-13 3314 1
33 알렉상드로 졸리앵 file 웹관리자 2015-08-05 3238 1
32 조선한시 대가가 낸 시험지에 정조가 준 점수는? file 강정실 2015-08-03 4025 2
31 '시인의 집' 60년, 이젠 예술가들 텃밭 만들어야죠 file 강정실 2015-08-03 3703 1
30 이육사 순국한 일본 지하감옥, 베이징에 여전히 존재 file 웹관리자 2015-08-02 4182 2
29 노벨문학상의 길 file 웹관리자 2015-07-30 3381 1
28 김준 작가, 에세이 file 강정실 2015-07-26 4520 2
27 향토문학계의 거목, 시인 백기만의 문학열정 file 강정실 2015-07-19 7231 1
26 책값보다 훨씬 더 대접받는 '희귀본' file 웹관리자 2015-07-14 6183 1
25 김구 선생 어머니 눈물 서린 '옥바라지 여관 골목' 없어질까 file 강정실 2015-07-05 5935 1
24 “문학관은 작가의 삶과 작품을 기억하고 추모하는 곳”해외기획취재 file 웹관리자 2015-06-11 408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