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터의 산문
- 이양하(李敭河)
만일 나의 애독(愛讀)하는 서적을 제한하여 이삼권 내지 사오 권만을 들라면, 나는 그 중의 하나로 옛날 로마의 철학자,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Aurelius Marcus) 명상록(冥想錄)을 들기를 주저하지 아니하겠다. 혹은 설움으로 혹은 분노로, 혹은 욕정으로 마음이 뒤흔들리거나, 또는 모든 일이 뜻같이 아니하여, 세상이 귀찮고, 아름다운 동무의 이야기까지 번거롭게 들릴 때 나는 흔히 이 견인주의자(堅忍主義者) 황제를 생각하고, 어떤 때는 직접 조용히 그의 명상록을 펴 본다.
그리하면, 그것은 대강의 경우에 있어, 어느 정도 마음의 평정을 회복해 주고, 당면한 고통과 침울(沈鬱)을 많이 완화해 주고, 진무(鎭撫)해 준다. 이러한 위안의 힘이 어디서 오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모르거니와, 그것은 "모든 것을 어떻게 생각하는가는 내 마음에 달렸다." "행복한 생활이란 많은 물건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항상 기억하라." "모든 것을 사리(捨離)하라. 그리고, 물러가 네 자신 가운데 침잠하라."
이러한 현명한 교훈에서만 오는 것은 아닐 것이다. 그것은 도리어 그 가운데 읽을 수 있는 외로운 마음, 끊임없는 자기 자신과의 대화가 생활의 필요조건이 되어 있는 마음, 행복을 단념하고 오로지 마음의 평정만을 구하는 마음에서 오는 것인지도 모른다. 다시 말하며, 목전의 현실에 눈을 감음으로써, 현실과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고, 또 어떤 때는 현실을 아주 무시하고 망각할 수 있는 마음에서 오는 편이 많을지도 모른다.
이러한 의미에 있어, 그 위안은 건전한 성질의 것이 아니라고도 할 수 있겠다. 사실, 일종의 지적 오만(傲慢) 또는 냉정한 무관심이 황제의 견인주의의 자연한 귀결이요, 동시에 생활 철학으로서의 한 큰 제한이 된다는 것은 거부할 수 없는 일이다. 그러나 그 반면, 견인주의가 황제의 생활에 있어 가장 아름답게 구현되고, 견인주의자의 추구하는 마음의 평정이, 행복을 구할 수 있는 마음의 한 기본적 자체가 된다는 것만은 또 수긍(首肯)하지 아니할 수 없는 사실이다.
다음에 번역해 본 것은 직접 명상록에 번역한 것이 아니요, 월터 페이터(Peter, Walter Horatio)가 그의 <쾌락주의자 메어리어스>의 일장에 있어서, 황제의 연설이라 하여, 명상록에 임의로 취재한 데다 자기 자신의 상상과 문식(文飾)을 가하여 써 놓은 몇 구절을 번역한 것이다. 페이터는 다 아는 바와 같이 세기말의 영국의 유명한 심미비평가(審美批評家)로, 아름다운 것을 관조하고 아름다운 글을 쓰는 데 일생을 바친 사람이다.
나는 그의 <문예 부흥>의 찬란한 문체도 좋아하니, 이 몇 구절의 간소하고 장중(莊重)한 문체도, 거기 못지 아니하게 좋아한다. 그리고, 황제의 생각도 페이터의 붓을 빌려 읽은 것이 없을 뿐 아니라, 한층 아름다운 표현을 얻었다 할 수 있지 아니한가 한다.
사람의 칭찬받기를 원하거든, 깊이 그들의 마음에 들어가, 그들이 어떠한 판단인가, 또 그들이 그들 자신에 관한 일에 대하여 어떠한 판단을 내리는가를 보라. 사후의 칭찬받기를 바라거든, 후세에 나서, 너의 위대한 명성을 전할 사람들도, 오늘같이 살기에 곤란을 느끼는 너와 다름없는 것을 생각하라. 진실로 사후의 명성에 연연해하는 자는 그를 기억해 주기를 바라는 사람의 하나하나가 얼마 아니하여 이 세상에서 사라지고, 기억 자에도 한동안 사람의 마음의 날개에 오르내리나, 결국은 사라져 버린다는 것을 알지 못하는 사람이다.
네가 장차 볼일 없는 사람들의 칭찬에 그렇게도 마음을 두는 것은 무슨 이유인고? 그것은 마치 너보다 앞서 이 세상에 났던 사람들의 칭찬을 구하는 것이나 다름이 없는 어리석은 일이 아니냐?
참다운 지혜로 마음을 가다듬은 사람은, 저 인구에 회자하는 호머의 시구 하나로도 이 세상의 비애와 공포에서 자유로울 수 있을 것이다.
사람은 나뭇잎과도 흡사한 것, 가을 바람의 땅에 낡은 잎을 뿌리면 봄은 다시 새로운 잎 으로 숲을 덮는다. 잎, 잎, 조그만 잎, 너의 어린애도 너의 아녀자도 너의 원수도 너를 저주하여 지옥에 떨어뜨리려 하는 자나, 이 세상에 있어 너를 헐고 비웃는 자나, 또는 사후에 큰 이름을 남긴 자나, 모두가 다 가지고 바람에 휘날리는 나뭇잎, 그들은 참으로 호머가 말한 바와 같이 봄철을 타고 난 것으로 얼마 아니 하여서는 바람에 불리어 흩어지고 나무에는 다시 새로운 잎 이 돋아나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에게 공통한 것이라고는 다만 그들의 목숨이 짧다는 것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는 마치 그들이 영원한 목숨을 가진 것처럼, 미워하고 사랑하려고 하느냐? 얼마 아니 하여서는 네 눈도 감겨지고, 네가 죽은 몸을 의탁하였던 자 또한 다른 사람의 짐이 되어 무덤에 가는 것이 아닌가? 때때로 현존하는 것, 또는 인제 막 나타나려 하는 모든 것이 어떻게 신속히 지나가는 것인지를 생각하여 보라, 그들의 실체는 끊임없는 물의 흐름, 영속하는 것이라고는 하나도 없다. 그리고 바닥 모를 때의 심연은 바로 네 곁에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것들 때문에 혹은 기뻐하고, 혹은 괴로워한다는 것이 어리석은 일이 아니냐?
무한한 물상 가운데서 네가 향수한 부분이 어떻게 작고, 무한한 시간 가운데 네게 허용된 시간이 어떻게 짧고, 운명 앞에 네 존재가 어떻게 미소한 것인가를 생각하라. 그리고 기꺼이 운명의 직녀 클로토의 베틀에 몸을 맡기고, 여신이 너를 실삼아 어떤 베를 짜든 마음을 쓰지 말라.
공사를 막론하고 싸움에 휩쓸려 들어갔을 때에는 때때로 그들의 분노와 격렬한 패기로 오늘까지 알려진 사람들 저 유명한 격노와 그 동기를 생각하고, 고래의 큰 싸움의 성패를 생각하라. 그들은 지금 모두 어떻게 되었으며 그들의 전진의 자취는 어떻게 되었는가! 그야말로 먼지요, 재요, 이야기요, 신화 아니 어떡하면 그만도 못한 것이다. 일어나는 이런 일 저런 일을 증대시하여, 혹은 몹시 화를 내던 네 신변의 사람들을 상기하여 보라.
그들은 과연 어디 있는가? 너는 이들과 같아지기를 원하는가? 죽음을 염두에 두고, 네 육신과 영혼을 생각해 보라. 네 육신이 차지한 것은 만상 가운데 하나 미진, 네 영혼이 차지한 것은 이 세상에 충만한 마음의 한 조각, 이 몸을 둘러보고 그것이 어떤 것이며 노령과 애욕과 병약 끝에 어떻게 되는 것인지를 생각해 보라. 또는 그 본질, 원형에 상도(想到)하여 가상(假想)에서 분리된 정체를 살펴보고, 만상의 본질이 그의 특수한 원형을 유지할 수 있는 제한된 시간을 생각해 보라. 아니 부패한 만상의 원리 원칙에도 작용하는 것으로 만상은 곧 진애요, 수액이요, 악취요, 골편, 너의 대리석은 흙의 정결, 너의 금은은 흙의 잔사에 지나지 못하고 너의 명주옷은 벌레의 잠자리, 저의 자포는 깨끗지 못한 물고기 피에 지나지 못한다. 아! 이러한 물건에서 나와 다시 이러한 물고기 피에 지나지 못한다. 아! 이러한 물건에서 나와 다시 이러한 물건으로 돌아가는 네 생명의 호흡 또한 이와 다름이 없느니라.
천지에 미만해 있는 큰 영은 만성을 초와 같이 손에 넣고 분주히 차례차례로 짐승을 빚어 내고 초목을 빚어 내고 어린애를 빚어 낸다. 그리고 사멸하는 것도 자연의 질서에서 아주 벗어져 나가는 것은 아니요, 그 안에 남아 있어 역시 변화를 계속하고 자연을 구성하고 또 너를 구성하는 요소로 다시 배분되는 것이다. 자연은 말없이 변화한다. 느티나무 궤짝은 목수가 꾸며 놓을 때 아무런 불평도 없었던 것과 같이 부서질 때도 아무런 불평을 말하지 아니한다.
사람이 있어 네가 내일 길어도 모레 죽으리라고 명언한다 할지라도 네게는 내일 죽으나 모레 죽으나 별로 다름이 없을 것이다. 따라서 너는 내일 죽지 아니하고 일년 후, 이년 후, 또는 십년 후에 죽는 것을 다행한 일이라고 생각지 않도록 힘써라.
만일 너를 괴롭히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네 마음이 그렇게 생각하는 때문이니까. 너는 그것을 쉬 물리칠 수 있을 것이다. 죽음이란 무엇인가? 만일 죽음에 부수되는 여러 가지 외관과 관념을 사리하고 죽음 자체를 직시한다면, 죽음이란 자연의 한 이법에 지나지 아니하고, 사람은 그 이법 앞에 겁을 집어먹는 어린애에 지니지 못하는 것을 알 것이다. 아니, 죽음은 자연의 이법이요, 작용일 뿐 아니라 자연을 이롭게 하는 것이다.
철인이나 법학자나 장군이나 우러러 보이면 이러한 사람으로 이미 죽은 사람을 생각하라. 네 얼굴을 거울에 비추어 볼 때에는 네 조상 중의 한 사람, 옛날의 로마 황제의 한 사람을 생각하여 보라. 그러면 너는 도처에 네 현실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는 이러한 것을 생각하여 보라. 그들이 지금 어디 있는가? 대체 어디 있을 수 있는가? 그리고 네 자긴 얼마나 오래 머물러 있을 수 있는가? 너는 네 생명이 속절하고 너의 직무, 너의 경영이 험하다는 것을 알지 못하느냐?
그러나, 머물러 있으랴? 적어도 치열한 불길이 그 가운데 던져지는 모든 것을 열과 빛으로 변화시키기까지는 세상은 한 큰 도시, 너는 이 도시의 한 시민으로 이때까지 살아왔다. 아! 온날을 세지 말며, 그날의 짧음을 한탄하지 말라. 너를 여기서 내보내는 것은 부정한 판단이나 폭군이 아니요, 너를 여기 데려 온 자연이다. 그러니 가라. 배우가 그를 고용한 감독이 명령하는 대로 무대에서 나가듯이 아직 5막을 다 끝내지 못하였다고 하려느냐? 그러나 인생에 있어서는 3막으로 극 전체가 끝나는 수가 있다.
그것은 작자의 상관할 일이요, 네가 간섭할 일이 아니다. 기쁨을 가지고 물러가라. 너를 물러가게 하는 것도 선의에서 나오는 일인지도 모를 일이니까.
<끝>
- 윌터 페이터(Walter Pater): 1839년 런던에서 태어나 옥스퍼드 대학교의 퀸스 칼리지를 졸업하고 평생 동안 모교의 교수로 재직했다. 1873년 평론집「르네상스 역사에 관한 연구Studies in the History of Renaissance」를 발표하여 19세기 말 데카당스 운동의 이론적 지도자가 되었다. 주요 저서로「향락주의자 메어리어스Marius the Epicurean」(1885),「상상적 초상Imaginary Portaits」(1887),「감상집Appreciations」(1889),「가스통 드 라투르Gaston de Latour」(1896) 등이 있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Aurelius Marcus) : (121~180) 로마 황제이며 스토아 철학자.
작품의 이해 '예술을 위한 예술'을 옹호함으로써 독일 유미주의의 철학적 기반을 이론화시킨 월터 페이터의 대표 산문집. 심미주의적 세계관을 드러내는 우아한 문체와 독창적 묘사로 전 세계 독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은「페이터의 산문」은 지친 현대인의 정신을 달래어 고요한 침잠의 세계로 이끄는 아름다운 시이자 철학 에세이다. 후기 빅토리아 시대의 중요한 사상가이자 인상주의적 비평의 정점을 이룬 저자 페이터는 인간은 경험을 통해 자신의 영혼을 알게 되므로 세련된 감수성을 연마하여 자신의 경험을 스스로 찾아 나서야 할 뿐만 아니라 선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이양하(李敭河, 1904년~1963년)는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수필가이다.
평남 강서에서 출생하였으며, 1923년 평양고등보통학교 졸업하고 1927년 일본제삼고등학교(第三高等學校), 1930년 동경제국대학 영문과 졸업, 1931년 동 대학원 수료하였다. 1934년부터 연희전문학교 교수로 있으면서 논문과 수필을 발표하였다. 서울대 문리대 교수로 있다가 1950년 미국으로 건너가 하버드 대학 대학원에서 2년간 영문학을 연구하였다. 1953년 미국 학술원의 초청으로 예일 대학 언어학부에서 마틴 교수와 함께 《한영사전》을 편찬했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장을 지냈으며, 1954년 학술원 회원이 되었다. 저서로 《이양하 수필집》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