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일야방성대곡 (是日也放聲大哭)
- 위암 장지연 (韋庵 張志淵)
지난 번 이등(伊藤) 후작이 내한했을 때에 어리석은 우리 인민들은 서로 말하기를, "후작은 평소 동양삼국의 정족(鼎足) 안녕을 주선하겠노라 자처하던 사람인지라 오늘 내한함이 필경은 우리 나라의 독립을 공고히 부식케 할 방책을 권고키 위한 것이리라."하여 인천항에서 서울에 이르기까지 관민상하가 환영하여 마지 않았다. 그러나 천하 일 가운데 예측키 어려운 일도 많도다. 천만 꿈밖에 5조약이 어찌하여 제출되었는가. 이 조약은 비단 우리 한국뿐만 아니라 동양 삼국이 분열을 빚어낼 조짐인 즉, 그렇다면 이등후작의 본뜻이 어디에 있었던가?
그것은 그렇다 하더라도 우리 대황제 폐하의 성의(聖意)가 강경하여 거절하기를 마다 하지 않았으니 조약이 성립되지 않은 것인 줄 이등후작 스스로도 잘 알았을 것이다. 그러나 슬프도다. 저 개돼지만도 못한 소위 우리 정부의 대신이란 자들은 자기 일신의 영달과 이익이나 바라면서 위협에 겁먹어 머뭇대거나 벌벌 떨며 나라를 팔아먹는 도적이 되기를 감수했던 것이다.
아, 4천년의 강토와 5백년의 사직을 남에게 들어 바치고, 2천만 생령들고 하여금 남의 노예되게 하였으니, 저 개돼지보다 못한 외무대신 박제순과 각 대신들이야 깊이 꾸짖을 것도 없다 하지만 명색이 참정(參政)대신이란 자는 정부의 수석임에도 단지 부(否)자로써 책임을 면하여 이름거리나 장만하려 했더라 말이냐.
김청음(金淸陰)처럼 통곡하여 문서를 찢지도 못했고, 정동계(鄭桐溪)처럼 배를 가르지도 못해 그저 살아남고자 했으니 그 무슨 면목으로 강경하신 황제 폐하를 뵈올 것이며, 그 무슨 면목으로 2천만 동포와 얼굴을 맞댈 것인가.
아! 원통한지고, 아! 분한지고. 우리 2천만 동포여, 노예된 동포여! 살았는가, 죽었는가?단군.기자 이래 4천년 국민정신이 하룻밤 사이에 홀연 망하고 말 것인가. 원통하고 원통하다. 동포여! 동포여! (전문)
* 출전 : [황성신문] 2,101호(1905. 11. 20)
* 해설 *
1905년 11월 20일자 《황성신문(皇城新聞)》에 게재된 장지연(張志淵)의 논설. 《황성신문》의 주필이었던 장지연은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이 논설을 써서 조약의 굴욕적인 내용을 폭로하고, 일본의 흉계를 통박하여 그 사실을 전국민에게 알렸다. 이로 인해 《황성신문》은 사전검열을 받지 않고 신문을 배포하였다는 이유로 3개월 동안 정간되었으며, 장지연은 일본 관헌에 붙잡혀 90여 일 동안 투옥되었다가 석방되었다.
이 논설의 요지는 을사조약을 체결시킨 일본의 침략적 저의를 폭로하고, 이 조약에 서명한 을사5적을 통렬히 공박하고 있다. 또한 <오늘에 이르러 목 놓아 통곡하는> 전국민의 분노를 대변하고 있다.
* 작자 장지연 (張志淵 1864∼1921)은
조선 말기 학자·언론인. 자는 화명(和明)·순소(舜韶), 호는 위암(韋庵)·숭양산인(嵩陽山人). 본관은 인동(仁同). 1894년(고종 31) 진사가 되었다. 이듬해 명성황후(明聖皇后)가 시해되자 의병의 궐기를 촉구하는 격문을 지어 각처에 보냈다.
1898년 《황성신문》기자, 만민공동회간부로 활동하였으며 이듬해에는 광문사(光文社)를 설립, 정약용(丁若鏞)의 《목민심서》 《흠흠신서》 등을 발간하였다. 1901년 《황성신문》 사장직을 맡아 민중계몽운동과 자립정신의 고취에 힘썼다.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체결되자 《황성신문》에 <시일야방성대곡(是日也放聲大哭)>이란 제목으로 을사조약이 국권피탈의 조약임을 알리는 동시에 을사5적신을 규탄하는 사설을 실어 전국에 배포하였다. 이 일로 《황성신문》은 압수 및 정간처분을 받았고 그는 투옥되었다.
1906년 윤효정(尹孝定)·심의성(沈宜性) 등과 대한자강회를 조직, 본격적인 구국운동을 벌여나갔지만 이듬해 강제해산되었다. 1908년 블라디보스토크에 망명, 《해조신문》 주필이 되었으나 경영난으로 신문이 폐간되자 상하이[上海(상해)]·난징[南京(남경)] 등을 유랑하였다.
이듬해 《경남일보》 주필이 되었고, 1910년 국권피탈 이후 선비들이 연이어 자결하자 황현의 절명시(絶命詩)를 게재하였다. 이 일로 신문이 폐간당하자 고향에 은거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저서로 《위암유고》 《증보대한강역고(增補大韓疆域考)》 《대한신지지(大韓新地志)》 《농정전서(農政全書)》 《숭산기(嵩山記)》 《대동시선(大東詩選)》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