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중한 2월을 맞이 하며/은파

조회 수 207 추천 수 1 2020.01.31 23:47:42

소중한 2월을 맞이 하며 /은파

 

 

 

2월 창 앞에 서있습니다.  열고 들어서려고 하니, 마음이 조금 조급해 집니다. 2월은 겨울과 봄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달이기 때문입니다.

 

올해는 신정과 구정이 1월 달에 함께 있었습니다. 그런 이유로 모두들 바쁜 일상으로 눈깜박 할 사이 1월을 보냈으리라 추측해 봅니다.

2월이 활짝 펼쳐지면 기나긴 겨울이 손사래 치고 작별을 고할 날 머지않았음을 피부로 느끼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제 마음은 아직 얼어붙은 동지섣달인가 봅니다. 2월이 조급한 마음으로 다가오기 때문입니다. 애써 '괜찮아,  마음을 다스려 봅니다. 서두르지 말아야 겠습니다. 급히 먹는 밥 체할라 숨을 길게 몰아 붙이니, 어린시절 국어 교과서의 닭이 눈 앞에 나타 나고, 강소천님의 [닭] 이라는 동시가 뇌리에 떠 올라 읊조려 봅니다.

 

                                                  물 한 모금 입에 물고/하늘 한 번 쳐다보고/또 한 모금 입에 물고/구름 한 번 쳐다 보고

                                                                                                            닭(전문)/강소천

 

                                                                                             -vZnPXCVpeqfBjRSI-U7QACJyexmnFMf_1lvGKw5

 

아동 문학가 강소천님은 1937년, 북간도 용정에 살면서 동요 <닭>을 썼다고 합니다. 닭이 물을 먹는 모습을 너무나 간결하게 묘사해 낸 이 동요는 시에서 압축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촌철살인의 교훈으로 가르쳐 주는 걸작이라고 평했던 기사가 기억 납니다. 이 동요는 해방 이후 이계석이 곡을 붙여 음악으로 만들어지면서 많은 사람들에게 불려졌습니다. 또한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배웠던 동시입니다. [닭]의 주제는 무엇일까 곰곰히 생각해 봅니다. 세상에 나와 있는 작품은 독자들의 마음에 따라 해석하며 독자층에 따라 힐링이 달라 질 수 있습니다, 

 

시대적인 배경의 암흑기를 뜻하리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작가의 의도와 동떨어진 감상을 가르켜 해석의 오류라고 말합니다. 하여 어떤 이는 비록 오류일지라도 그 오류를 범하며 나름 재 해석을 하곤 합니다. 이 [동시]에 나타나 있는 중심 된 시어는 물 한 모금 입에 물고 입니다. 사실 닭은 부리로 먹기에 작은 사발에 놓여 있는 물을 얼마나 많이 마실 수 있을 까요? 답은 바로 나올 수 있을 만큼의 소량의 물을 먹습니다. 하지만 소량의 물인데도 닭은 그 물을 바로 먹지 않고서 물 한 모금 입에 물고 하늘 한 번 쳐다봅니다. 

 

그런 이유로 어떤 이는 <닭>이란 동시를 읽을 때마다 그것이 비록 오류일지라도 마냥 범하고만 싶은 충동을 불러일으키는 작품이라고 했습니다. 보통 닭이 물을 먹을 때 한 모금 부리로 찍어 먹는데 작가는 단 한 모금일 뿐인 그 물을 곧장 마시는 것이 아니라 '입에 물고' 하늘을 쳐다본다. 라고 표현한 그 하늘을 애국가에서 나타난 하늘과 연결시키었습니다. 즉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 나라 만세" 의 바로 그 하늘이다. 북간도 용정에서 강소천은 하늘에 소원을 빌며 가난하게 살아간 민족의 삶을 함축적으로 노래하지 않았을까?라는 견해를 밝히기도 했습니다. 

 

이순역의 열차를 바라 봐서 그럴까요. 아동문학 작가 강소천님의 [닭]이란 동시처럼 한 박자 조금 쉬고 싶습니다. 이역만리 타향의 삶이란 그리 쉽게 사는 삶이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늘 바쁘게 살아왔던 삶에서 조금은 느긋해 지고 싶습니다. 물론 아이들이 아직 나이가 어려 편히 쉰다는 것이 사치가 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살았던 방식에서 벗어 나고 싶습니다. 또한 이순역의 열차 안에 발을 디딛고 가기 전에 해야 할 일이 많이 있습니다. 쟁여 쌓아 두었던 것, 그 묵은 것 부터 훌훌 털어야 겠습니다. 백세 시대에 걸맞게 인생의 새봄을 맞이하기 위해 준비 해야겠다고 재 확인하는 마음입니다.

 

작금, 미국 LA는 1월의 끝자락입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하루가 빠릅니다. 하여 2월의 문을 활짝 열었겠습니다. 아이들도 겨울방학을 서서히 끝낼 준비 하겠지요. 2월이 되면 학교 갈 준비 해야 새로운 마음으로 새학년을 새로 맞이 할 수 있던 기억이 아련하게 피어 오릅니다. 이국 땅에 살고 있어 그런지. 오늘 따라 이때즈음 마음이 들 떠 있던 학창시절의 그 때가 그리워 밀물처럼 밀려 들어옵니다.  새해 인사도 신정에서 구정 사이에 새해인사 위해 방문하거나 연하장, 카카오톡, 전화등 여러 방법을 동원하여 인사했다고 봅니다. 저는 올해의 상황이 여울목 같아 안부 할 상황이 아니었기에 모두에게 죄송 스럽고 부끄럽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바쁘게 지냈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이들 1월을 새해 인사로 바쁘게 지내고나니, 2월이 더 빨리 우리 문 앞에 서 있다 싶습니다. 올 2월은 윤달이 껴 있어 하루가 더 있습니다. 하지만 2월은 일년 중 가장 짧은 달입니다. 긴장의 끈 안놓고 발돋음하며 나태해 지지말자! 기분 전환 속에 새봄 맞아야 겠다 다짐합니다.  특별이 그런 이유로 2월이 더 소중한 마음입니다. 앞서 말씀드렸지만 2월은 겨울과 봄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달로 우리에게 2월은 챈스의 달이기도 합니다. 필자는 이순역에 한 발 디딛고 서성이고 있습니다. 이생에서 살 날이 산 날 보다 계산 상 얼마 남지 않은 게 사실이라 남다른 해 이기 때문입니다.

 

이제 LA도 2월 입니다. 자정이 지나 영시 46분입니다. 강소천님의 동시 [닭]의 의미를 깊게 생각하며 소중한 2월을 만들어야 겠습니다.


오애숙

2020.02.01 00:03:15
*.243.214.12

 

th?id=OIP.-DyTj4lQXILyFg8wE12CTgHaE4&pid

 

 

2월 속에 피어나는 웃음꽃/은파


올해 일월은
신정과 구정 오가며
정신없이 바쁘게 지나갔나
버얼서 끝자락에
서성이고있다

겨우내 동면속에
잠자던 수선화가 보란듯
봄햇살 금싸라기 너울쓰고서
설한풍 몰아내려 눈 부비고
웃음짓고 있나

고향 앞마당에선
봄전령사인 매화나무
성긴가지 끝에서 새봄 왔다고
자 새봄 단장하자 꽃눈 열어
신호탄 날리겠지

이맘 때가 되면
눈부비며 스며오는 어린소녀
제세상 만들고파 웃음꽃 피우려
2월의 싸리문 연 그 애가
내게로 걸어온다

오애숙

2020.02.01 00:04:33
*.243.214.12

위의 시를 연시조로 재구성해 봅니다.

 

연시조로 재구성하여 올립니다.
=================

 2월속에 피어나는 웃음꽃/은파


경자년 일월 달은 신정과 구정 있어
일월이 정신없이 빠르게 지나더니
고향엔 봄전령사가 성긴가지 끝 여누

겨우내 동면 속에 잠자던 매화나무
설한풍 몰아내려 봄햇살 맞이하누
새봄이 돌아 왔다고 기지개 켜고 웃누

이맘 때 눈비비며 스미는 함박웃음
제세상 만든다며 웃음꽃 피던 소녀
2월의 싸리문 열고 걸어오고 있구려

 

Image result for 싸리문 열고 들어 오는 아이b0vD_roWP7ftUEQEBnpYPxxPLh3mdWyCs5fOjQR2

오애숙

2020.02.01 13:27:38
*.243.214.12

2월의 봄/은파

 

사윈들 

산야 모두

잉태를 위한 시작

 

진통이 

시작된다

산고의 아픔으로

 

나목의 

성긴 가지 끝

활화산이 터졌다

 

 

Oy5f0qTlGO-oOXFtWCSKN-UxJO2STAOQWkWEkPeW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2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855 그 날/ 시조 박은경 2020-03-03 160 1
854 지금은 기도할 때/ 시조 박은경 2020-03-03 128 1
853 미 워싱턴주서 코로나19 사망자 4명 추가...총 6명 file [1] 웹담당관리자 2020-03-02 182 1
852 로스앤젤레스(LA) 코로나 19 바이러스 긴급 공지(전문) file [1] 웹담당관리자 2020-02-28 125 1
851 '염소수염'이 우한코로나에 취약?...CDC, 피해야 할 18가지 수염 제시 file [1] 웹담당관리자 2020-02-28 176 1
850 LA 다녀간 대한항공 승무원 확진판정…LA한인타운 ‘술렁’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2-28 134 1
849 [연시조]로 엮은 봄에 피는 야생화꽃 찾아서/은파 [6] 오애숙 2020-02-23 270 1
848 봄은 어디서부터 오는가/은파 [3] 오애숙 2020-02-20 214 1
847 설빛 하얀 그리움 일렁이는 이 아침 [2] 오애숙 2020-02-19 247 3
846 2월의 곽상희 서신-미분학 바람 [1] 웹담당관리자 2020-02-10 142 1
845 초가지붕-안종관 시인 file [1] 웹담당관리자 2020-02-10 203 1
844 1달러로 행복 바이러스 만들기/은파 [3] 오애숙 2020-02-10 172 1
843 입춘을 맞이하여 입춘대길 건양다경 하시길 기원합니다. [3] 오애숙 2020-02-03 424 1
» 소중한 2월을 맞이 하며/은파 [3] 오애숙 2020-01-31 207 1
841 가입 절차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4] 나신 2020-01-27 311 1
840 한국 고유 명절인 설(구정) 잘 보내소서.(떡국 먹으면서)/은파 [3] 오애숙 2020-01-23 218 1
839 밥을 얻어먹어며 file [1] 웹담당관리자 2020-01-21 220 1
838 강가에 서서 [5] 박은경 2020-01-19 248 1
837 [시조] 독 안에 든 쥐 [1] 박은경 2020-01-13 170 1
836 5학년 5반, 보석으로 거듭나기 [1] 박은경 2020-01-13 17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