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발발 초기 2년간의 전황보고서

국보 임진장초에는 없는 문건 12건 추가

 

1960년대 이후 분실됐다고 했다가 나타난 충무공 이순신 관련 유물 장계별책(狀啓別冊)은 책 자체에 쓰인 정식 이름이 충민공계초(忠愍公啓草)다.

우선 제목을 풀면 이 문서의 성격이 드러난다. 이는 충민공이 임금에게 올린 문서 중 하나인 계(啓)를 필사했다는 뜻이다. 여기서 초(草)는 축약했다는 초록이 아니라 원본 문서를 그대로 손으로 옮겨적었다는 뜻이다.

충무공 유물 '장계별책' 장물업자가 박물관에 팔아     (대전=연합뉴스) 양영석 = 부산의 한 박물관에서 발견된 이순신 장군의 유물 '장계별책'이 장물이라고 13일 대전경찰 광역수사대가 발표했다. 충무공 후손의 지인이 유출해 장물업자에게 넘긴 것을 박물관 측이 구입했다는 것이다. 사진은 장물로 밝혀진 장계별책.
충무공 유물 '장계별책' 장물업자가 박물관에 팔아 (대전=연합뉴스) 양영석 = 부산의 한 박물관에서 발견된 이순신 장군의 유물 '장계별책'이 장물이라고 13일 대전경찰 광역수사대가 발표했다. 충무공 후손의 지인이 유출해 장물업자에게 넘긴 것을 박물관 측이 구입했다는 것이다. 사진은 장물로 밝혀진 장계별책.
팔어넘긴 서적들     (대전=연합뉴스) 양영석 = 부산의 한 박물관에서 발견된 이순신 장군의 유물 '장계별책'이 장물이라고 13일 대전경찰 광역수사대가 발표했다. 충무공 후손의 지인이 유출해 장물업자에게 넘긴 것을 박물관 측이 구입했다는 것이다. 사진은 경찰이 이날 공개한 장계별책 외 다른 서적들.
팔어넘긴 서적들 (대전=연합뉴스) 양영석 = 부산의 한 박물관에서 발견된 이순신 장군의 유물 '장계별책'이 장물이라고 13일 대전경찰 광역수사대가 발표했다. 충무공 후손의 지인이 유출해 장물업자에게 넘긴 것을 박물관 측이 구입했다는 것이다. 사진은 경찰이 이날 공개한 장계별책 외 다른 서적들.

충민은 이순신이 죽고 난 뒤 그를 기리고자 건립된 사당 중 한 곳의 이름이다. 그의 사후 3년 뒤인 선조 34년(1601), 그의 공적과 충렬을 기리고자 지금의 전남 여수시 덕충동에 사당이 왕명으로 들어서는데 임금이 내린 이름이 바로 충민(忠愍)이다.

따라서 '충민공계초'란 이순신이 임금에게 올린 보고서 묶음집이라는 뜻이다.

그렇다면 장계별책이란 무슨 뜻일까? 뒤에서 보게 될 국보 제76호 임진장초(壬辰狀草)라는 이순신 장계 문서집과는 구별되는 또 하나의 문서집이라는 뜻에서 편의상 붙인 명칭이다.

어떻든 1책 필사본인 이 충민공계초는 분량이 전체 73쪽이다. 내용을 보면 이순신이 전라좌수사(全羅左水使)로 일한 선조 25년(1592) 4월15일 이래 선조 27년(1594) 4월20일까지 작성해 국왕과 세자에게 올린 임진왜란 관련 전황 보고서들이다.

국왕에게 올리는 문서는 계(啓)라고 쓰고, 세자인 광해군에게 올린 보고서는 달(達)이라 해서 구분했다.

날짜별로 정리된 이런 보고서는 총 68건이다. 그 내용을 보면 왜적의 정세를 아뢰고 승전해 왜적을 물리친 장수와 군사에게 상벌을 내리기를 청하는 일 등을 담았다.

이런 전황 관련 보고서 외에도 이순신 사당인 충민사 관련 글 세 편이 추가됐다. 백사 이항복(1556~1618)이 쓴 이순신 관련 추모글 2편과 박승종(朴承宗. 1562~1623)이 쓴 충민사 관련 기록인 충민사기(忠愍祠記)가 그것이다.

충민공계초를 누가, 무슨 목적으로 만들었는지는 확실치 않다. 다만 문서 끝에는 "강희 원년 임진년 3월 염일(念日)에 쓰기를 마치다'(康熙元年壬寅三月念日書終)라는 대목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이 필사본은 현종 3년(1662) 3월20일 무렵에 완성됐음을 알 수 있다.

이 무렵이면 이순신에 대한 추모 열기가 조정에서도 높을 때라 이런 분위기를 틈타 관청에 제출하기 위한 원고용으로 편집된 것이 아닌가 하는 짐작을 가능케 한다.

이순신의 이런 장계 묶음집으로 널리 알려진 것으로는 국보로 지정된 임진장초(壬辰狀草)가 있다. 임진란 당시 이순신이 국왕과 세자에게 올린 계문(啓文)과 달문(達文)을 역시 날짜별로 분류한 문서다. 초(草)라는 제목이 시사하듯이 이 역시 필사본이다.

지면 곳곳에 '전라좌도수군절도사인(全羅左道水軍節度使印)이라는 관인(官印)이 찍힌 것으로 보아 임진란 당시 전라좌수영 업무 현장에서 편찬된 것으로 추정된다.

1책 필사본으로 이에서 정리한 문건은 총 61편이다. 문서 작성 시기로 보면 선조 20년(1592) 4월15일부터 이듬해 1월15일까지다.

최근에 알려진 충민공계초와는 문서 작성시기 상당 부분이 겹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임진장초와 비교할 때 충민공계초에는 12개 장계가 더 수록됐다. 그만큼 역사적 가치가 더 높다는 뜻이다.

예컨대 정조 때 편찬한 이충무공전서를 통해 내용만 전해지던 제2 당항포해전 관련 장계는 그 전문이 오직 충민공계초에 보일 뿐이다. 나아가 그간 글자 마멸 등으로 해독이 되지 않거나, 탈락된 임진란 관련 기록 또한 충민공계초를 통해 보완하게 된다.

난중일기 교감완역본을 펴낸 이순신 전문가 노승석 여해고전연구소장은 "장계별책 뒤에 이 책이 국가기관 서고에서 천년의 보물이 되어라는 의미의 '군위각하천년보(君爲閣下千年珤)'라는 글자가 써 있다"며 "충무공 사후 그의 공로를 인정해 국기기관에서 쓴 책으로 보여 가치가 있다"고 설명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장계별책도 임진장초와 문화재청 관계자는 "장계별책도 임진장초와 더불어 국보로 지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저작권법 웹관리자 2014-09-27 3546 4
47 무지개 산(페루) file 웹담당관리자 2024-07-30 71 1
46 화성에도 건기·우기 있었다…"생명체 존재 가능성 증거" file 웹담당관리자 2024-07-26 151 1
45 아침이슬 작곡가 김민기 사망 file 웹담당관리자 2024-07-23 103  
44 노산 이은상 시인의 시 '가고파'를 축제의 명칭에 넣지 말라(?) file 웹담당관리자 2024-07-09 126  
43 시인 이상과 화가 김환기의 아내 웹담당관리자 2023-12-03 411 1
42 “안중근 모친의 ‘편지’는 일본인 승려의 조작이었다.” file 강정실 2023-02-24 1307 1
41 친일작가 문학상 논란 재점화 file 웹관리자 2016-11-25 3043 1
40 김민정 시인 "일상의 아름다움…처음 쓰게 됐죠" file 웹관리자 2016-07-03 3624 1
39 "이육사의 詩 '靑포도'는 청포도 아닌 덜 익은 '풋포도'" file 웹관리자 2016-03-15 4363 1
38 윤동주 열품에 서정주.김소월.백석도---- 서점가 신풍경 file 웹관리자 2016-02-23 7454 1
37 윤동주 시인의 시세계 웹관리자 2016-02-16 8210 1
36 황석영 "젊은 작가 작품에 '철학' 안 보여…문예창작학과 때문" file 웹관리자 2015-09-10 2714 1
35 윤봉길 의사 도시락 폭탄, 우리 작은 할아버지 작품이예요. file 웹관리자 2015-08-14 7465 1
» 이순신의 전황보고서 '장계별책'은 국보급 file 웹관리자 2015-08-13 3393 1
33 알렉상드로 졸리앵 file 웹관리자 2015-08-05 3289 1
32 조선한시 대가가 낸 시험지에 정조가 준 점수는? file 강정실 2015-08-03 4071 2
31 '시인의 집' 60년, 이젠 예술가들 텃밭 만들어야죠 file 강정실 2015-08-03 3747 1
30 이육사 순국한 일본 지하감옥, 베이징에 여전히 존재 file 웹관리자 2015-08-02 4222 2
29 노벨문학상의 길 file 웹관리자 2015-07-30 3432 1
28 김준 작가, 에세이 file 강정실 2015-07-26 454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