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1.jpg

 

입력 2022.02.26 13:31

 

문화부 초대 장관(1990~1991)을 지낸 이어령(88) 이화여대 명예석좌교수가 26일 암 투병 끝에 별세했다. 고인의 유족은 오늘 낮 1220분쯤 자택에서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큰 통증 없이 돌아가셨다유언은 따로 남기지 않으셨다고 말했다. 고인은 문학평론가, 언론인, 교수 등으로 활동하며 한국 대표 석학이자 우리 시대 최고 지성으로 불렸다. 노태우 정부 때 신설된 문화부 초대 장관이었으며 대한민국예술원 회원(문학평론)으로 활동했다.

 

이어령은 1934년 충남 아산에서 태어났다. 그는 내가 돌상에서 돌잡이로 책을 잡은 걸, 어머니는 두고두고 기뻐하셨다라며 그런 어머니 밑에서 자라서 나는 책을 읽고 상상력을 키우는 인간이 됐다고 회상한 적이 있다. 그는 서울대 국문학과 재학 중이던 1956년 비평가로 등단한 뒤 문학을 바탕으로 인문학 전반을 아우른 지성의 필력을 휘두르면서 60여 권의 저서를 냈고, “짧게 말하겠다면서도 홀로 서너 시간은 족히 쏟아내는 달변으로 사람들을 즐겁게 했다. 지난 2009년 저술 활동 50주년을 기념한 자리에서 그는 내가 닭은 빛을 토할 뿐 울지 않는다는 문장을 쓴 적이 있지만, 나는 계유생(癸酉生)이라 늘 울고 다니기만 했다라며 왕성한 말과 글의 인생을 우스개로 풀이했다.

 

이어령은 초대 문화부 장관을 지낸 것을 비롯해 10여개가 넘는 직함을 거쳤다. 경기고교 교사, 이화여대 국문과 교수, 월간 문학사상 발행인, 조선일보 객원 논설위원,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조직위원장, 동아시아 문화도시 조직위원회 명예위원장 등으로 활동했다.

 

이어령은 1956년 평론 우상의 파괴를 발표하면서 기성 문단을 향해 무지몽매한 우상을 섬기기 위하여 그렇듯 고가(高價)한 우리 세대의 정신을 제물로 바치던 우울한 시대는 지났다라고 통렬하게 비판해 신세대 문학의 기수가 됐다. 그는 1963년 산문집 흙 속에 저 바람 속에를 통해 수난의 역사를 거쳐온 한국인의 심성이 지닌 장점을 새롭게 풀이해 역경 극복의 정신을 제시했다. ‘언어의 마술사소리를 들을 정도로 수사학이 뛰어났던 그는 비평가로선 순수 문학의 입장에서 참여 문학을 비판했다. 1968년 조선일보 등의 지면을 통해 김수영 시인과 불온시 논쟁을 펼치면서 그는 불온성을 작품의 가치기준으로 삼고 있는 김수영씨 같은 시인에게는, 문학비평가의 월평보다는 기관원의 블랙리스트에 오른 작품명을 훔쳐보는 것이 더 유익할 것이라며 문학의 가치는 정치적 불온성 유무의 상대성 원리로 재판할 수 없는 다른 일면을 지니고 있다고 공격했다. 그러나 그는 지난해 김수영 50주기를 맞아 쓴 평론에선 화해를 모색했다. 그는 서로 누운 자리는 달랐어도 우리는 같은 꿈을 꾸고 있었을 것이라며 보수·진보, 참여·순수 어느 한쪽의 흑백 하나로 보면 어떤 시인도 도그마의 희생양이 된다. 김수영에게 있어서 시는 자유요, 그 자체라고 풀이했다.

 

 

이어령은 1982축소지향의 일본인을 펴내 일본 사회의 심층을 분석하면서 일본의 하이쿠와 분재, 쥘 부채 등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축소 지향이 트랜지스터를 비롯한 소형 상품 생산의 성공 요인이라고 풀이했다. 그는 일본이 축소 지향을 유지해 공업사회의 거인이 됐지만, 대륙 침략을 통한 확대 지향을 시도했던 것은 처참한 실패로 끝났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이어령은 1988년 서울올림픽 개회식을 총괄 기획했다. 개회식 마무리를 침묵 속에 홀로 굴렁쇠를 굴리는 소년의 등장으로 꾸미면서 정적과 여백의 미학을 전 세계에 제시했다.

 

이어령은 1990년 문화부 장관에 취임한 뒤 국립국어원을 세워 언어 순화의 기준을 제시했다. 그는 장관으로서 가장 잘 한 일은 노견(路肩)’이란 행정 용어를 갓길로 바꾼 것이라고 자평하길 좋아했다. 그는 한국예술종합학교를 세워 문화 영재 양성의 기반도 닦았다. 90년대 초부터 정보화 사회의 도래를 일찍 파악해 산업화는 늦었지만, 정보화는 앞서가자는 표어를 제시했고,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장점을 융합한 디지로그란 신조어를 내놓으면서 현실 변화에 창조적으로 대응했다. 그는 지식인으로서 거듭나기의 비결에 대해 호기심이야말로 창조의 근원이라고 강조했다. “내 인생은 물음표와 느낌표 사이를 시계추처럼 오고가는 삶이었다. 미지(未知)에 대한 목마름으로 도전했다. 우물을 파고 마시는 순간 다른 우물을 찾아 떠났다.”

 

그는 서울대 재학 중 만난 강인숙 건국대 명예 교수 사이에 21녀를 뒀다. 강 교수는 집에 오면 늘 글을 썼고, 몇 년에 한 번은 1년씩 외국에 나가 책 한 권을 써냈다고 회상했다. 그는 2012년 맏딸 이민아 목사를 암으로 잃었지만, 딸의 권유로 기독교에 귀의했다. “지성의 종착역은 영성(靈性)”이라고 했다. “하나님도 인간이 너무 고통스러워하면 가엾게 여겨서 잠시 그 자비로운 손으로 만져줄 때가 있다. 배 아플 때 어머니 손은 약손이라고 만져주면 반짝 낫는 것 같지 않나. 그때 나는 신께 기도한다.”

 

그는 뒤늦게 깨달은 생의 진실에 대해 모든 게 선물이었다고 했다. “우주에서 선물로 받은 이 생명처럼, 내가 내 힘으로 이뤘다고 생각한 게 다 선물이더라.”

 

고인은 지난해 10월 한국 문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금관문화훈장을 받았다. 유족으로는 부인 강인숙 영인문학관 관장, 장남 이승무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차남 이강무 백석대 교수가 있다.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고 장례는 5일간 문화체육관광부장으로 치른다.


정순옥

2022.02.28 12:15:02
*.48.176.218

세월의 무상함을 느끼게 합니다.

삼가 조의를 표하며 고인의 유덕이

후세에 이어질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8438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30662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8155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8244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809 5
2008 삼일절, 대숲 스쳐 지나가며 [2] 오애숙 2022-03-01 327 1
2007 바람 file [1] 이병호 2022-02-28 283 1
2006 쌀밥 file [3] 정순옥 2022-02-28 289 1
2005 한글에 왜 띄어쓰기가 있습니까? file [1] 웹담당관리자 2022-02-27 5584 2
» ‘우리 시대의 지성’ 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 별세 file [1] 웹담당관리자 2022-02-26 505 1
2003 중심성 망막염 file [3] 배원주 2022-02-25 340 1
2002 [자유시] 휴대폰 박은경 2022-02-11 1323 1
2001 [연시조] 방귀냄새 박은경 2022-02-11 247  
2000 행시조/ 좋은 소식 [ 강의실] 박은경 2022-02-10 248  
1999 슴 쉴수 있음에 [공존의 법칙] 박은경 2022-02-09 208  
1998 도판희 [연시조] 박은경 2022-02-07 249  
1997 소시민의 겨울 [세월아 섯거라] [2] 박은경 2022-02-06 340 1
1996 설은 지났지만 [자유시] 박은경 2022-02-05 271 1
1995 무념의 허상으로 남다 [행시 3편] 박은경 2022-02-05 224 1
1994 복수초 박은경 2022-02-04 34012  
1993 [영한 행시] 망국의 한/ WHAT 박은경 2022-02-04 274  
1992 아날로그 삶 [디카시] file [1] 박은경 2022-02-04 265  
1991 설명절 [행시] 박은경 2022-02-04 203  
1990 [연시조] 오늘이 설이래 박은경 2022-02-03 218 1
1989 설날 덕담 한마디 박은경 2022-02-02 3211 1